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등록일: 2008-04-18
<`대운하 환경 영향' 찬반 격돌> -연합뉴스 반대 측 "홍수 대응ㆍ수량ㆍ수질에 모두 `악영향'" 찬성 측 "하천생태계 건강회복ㆍ지구온난화 대책 `효과적"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한국환경영양평가학회가 18일 서울대 교수회관에서 `한반도대운하와 영향평가'를 주제로 열린 춘계 학술발표대회에서 환경 전문가들 사이에서 대운하의 `친환경성'을 놓고 격론이 펼쳐졌다. 반대 측의 이상훈 수원대(환경공학과) 교수는 "경부운하 계획은 선거를 대비해 서둘러 작성됐다"며 "조령산맥을 어떻게 통과할 것인가에 대해 확정된 노선이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홍수 위험에 대해 너무 안이한 발상을 담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여름철 `홍수폭탄'을 막으려면 주운댐(운하 운영에 필요한 물 확보를 위해 건설하는 댐)의 높이를 높이고 강둑도 올려야 하는데 운하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이 같은 과학적 사실을 간과한 채 낙동강과 남한강의 물길을 간단히 조령터널로 잇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운댐 건설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수(水)량 10억t은 필요하다고 빼내서 쓰면 선박 운영에 필요한 수심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운하 건설이 갈수대책이라는 주장은 어불성설이다"며 "수량이 증가하더라도 흐르던 강물이 고여 저수지가 되면 수질이 악화될 수밖에 없지만 운하 찬성측은 구체적인 수질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정호 한양대(경제학과) 교수도 "경부운하 사업은 실제 사업비가 40조~50조원에 달하는 초대형 건설 프로젝트이지만 운하를 이용할 물동량이 부족하고 산업ㆍ고용 파급력이 적을 것"이라며 "운하는 막대한 비용을 치르면서 추진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재원 조달 방법에 있어서도 골재판매 수익으로 재원을 조달한다는 계획은 골재에 대한 수요와 가격을 고려하면 아무리 많아도 2조원이 채 되지 않아 실현이 불가능하다"며 "민자유치를 통한 재원조달 방법 역시 대운하의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운영 수익 보상이나 주변지역 개발권 보장 등의 편법이 없는 한 현실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찬성 측의 박석순 이화여대(환경공학과) 교수는 "대운하가 하천 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하는 한편 지구 온난화의 대책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운하 건설이 수량부족, 수질악화, 하상퇴적이라는 `3대 악영향'을 제거하는 환경개선 사업이 될 것"이라며 "운하 건설이 생태계를 단절해 종의 수를 감소시킬 것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수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풍부한 수량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운하의 건설이 생태계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운하의 건설이 치수 능력을 증대시키고 내륙개발을 촉진해 이상기후 현상에 대한 대응능력을 높여줄 것"이라며 "운하를 통한 운송이 도로 운송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크게 줄여줘서 온실가스 감축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재광 미국 위스콘신대(건설환경공학과) 교수도 "대운하 건설에 반대한다면 이를 입증할 구체적인 증명이 가능해야 하지만 반대론자들은 선정적인 표현만 있을 뿐 반론을 입증할 자료가 없다"며 "일부 언론도 운하관련 비전문가의 말을 아무런 검증 없이 실어 국민들을 혼란시키고 편 가르기를 하는 형국"이라고 대운하 반대론을 반박했다. 그는 "한반도가 산악지대가 많아서 경부운하 건설이 힘들다는 반대 측의 주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한국의 건설 능력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으며 "강을 직선화하는 운하가 홍수 피해를 키울 것이라는 의견 역시 운하가 집중호우로 발생하는 물을 빠른 시간 내에 하류로 보내 홍수를 막을 것이기 때문에 옳지 않다"고 강조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