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탄소나노튜브, 석면과 같은 질병 유발 위험 -연합뉴스
등록일: 2008-05-21
탄소나노튜브, 석면과 같은 질병 유발 위험 -연합뉴스 (보스턴.파리 AP.AFP=연합뉴스) 나노기술 분야의 핵심 소재인 탄소 나노튜브 섬유가 동물 실험에서 석면으로 인한 것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미국과 영국 과학자들이 발표했다. 에든버러 대학과 우드로 윌슨 국제연구센터 등 영ㆍ미 과학자들은 시판중인 다양한 크기의 탄소나노튜브 표본을 생쥐들에 주입하자 긴 섬유가 주입된 복막 부위에서 석면이 일으키는 것과 같은 종류의 염증과 병변이 일어났다고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생쥐들에게서 발견된 육아종과 염증은 중피종의 매우 강력한 지표"라고 지적하고 이들이 계속 생존했다면 나노튜브 섬유가 있는 부위에서 암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대단히 컸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피종은 흉막이나 복막, 심막 등의 표면을 덮고 있는 중피에서 발생하는 암을 뜻한다. 이 연구에서 길이가 짧거나 많이 엉켜 있는 나노튜브들은 긴 섬유처럼 석면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이것이 안전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석면과 같은 효과가 모든 탄소 나노튜브 자체의 특성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나노튜브를 가늘고 긴 석면 형태의 섬유로 쌓아두는 생체의 힘든 반응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노 수준의 섬유가 폐에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들은 이미 나와 있지만 탄소 나노튜브가 중피에도 같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은 처음 밝혀진 것이다. 연구진은 과거 일본에서도 이와 유사한 실험이 이루어졌지만 당시 주입된 탄소 나노튜브의 양이 너무 많아 실험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됐다면서 이번 실험도 중피종이 나타나기 전에 중단됐기 때문에 실제로 석면에 의해 유발되는 중피종이 탄소 나노튜브로도 똑같이 일어났을 것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탄소 나노튜브는 이미 시중에서 광범위하게 판매되고 있지만 연구진은 이 소재가 전자 기기와 혼합 금속구조, 또는 각종 소비자 제품 등에 어느 정도나 사용되고 있는 지 확신하지 못해 제조업체들에 긴 섬유 사용 여부를 공개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탄소 나노튜브는 흑연 분자를 대롱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크기가 10억분의1m, 즉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8만분의1 밖에 안 되기 때문에 전자 및 의료 부문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