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학교자율화 확대 학운위 역량 강화해야” -경남신문
등록일: 2008-05-30
“학교자율화 확대 학운위 역량 강화해야” -경남신문 부교재 선정·사설모의고사 등 부작용 우려…연수·장학지원 필요 학교자율화 확대로 학교운영위원회(학운위)의 투명성과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경남도교육청에 따르면 초·중·고 단위 학교의 자율성을 저해하는 교육과학기술부의 29개 지침 중 경남은 16건을 폐지하고 9건은 대체 폐지, 4건은 수정하는 등 ‘학교자율화 세부 추진 계획안’을 최근 내놓았다. 이 계획안에 따라 일선 학교의 자율권이 강화되면서 학운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됐다. 특히 학교 부교재 선정과 사설모의고사 실시, 방과 후 학교 운영, 교복공동구매, 재량휴업 및 어린이 신문 단체 구독뿐만 아니라 학사(수업 및 일과)운영까지 학운위의 심의를 거쳐 자율적으로 하도록 조정돼, 학교 자율화 시행초기에 부작용이 우려된다. 또 학운위의 결정이 강제성이 없어 학운위와 관할 교육청에 서면으로 보고만 하면 학교장이 심의결과와 다르게 운영할 수 있으며, 교육활동 및 학교운영에 중대한 차질이 발생할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학운위의 심의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학교장의 독단을 견제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도 함께 강구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경남도교육청은 일선학교의 자율적 학교경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학운위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수를 실시하고, 학교 책임경영이 정착될 수 있도록 컨설팅 장학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성열 원장(경남대 교육학과 교수)은 “학운위 위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운위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는 책임의식이 필요하며 연수 등 교육과 함께 학사운영에 참여하면서 쌓은 경험도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학운위의 운영과 관련해 우려하는 목소리에 대해서는 “일부 우려스러운 점도 단위학교 수준에서 해결하면서 역량을 키워나가야 한다”며 “서로 머리를 맞대고 학생들에게 어떤 교육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 고민하면 충분히 자율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고 조언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