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대운하 따라 낙동강 운하도 '보류' -도민일보
등록일: 2008-06-05
대운하 따라 낙동강 운하도 '보류' -도민일보 자치단체 실무급 회의 취소…연구용역도 연기 "잠시 보류일 뿐"…시민단체는 투쟁수위 높여 정부가 대운하 논의를 자제하는 가운데, 경남을 비롯한 5개 자치단체장이 조기 건설해달라고 공동 건의문을 낸 '낙동강운하'도 보류되는 분위기다. 정부는 촛불이 대운하로 번질까 봐 걱정이고, 낙동강운하를 외치는 지자체는 정부 눈치를 살피고 있다. <관련기사 9면> ◇실무급 회의 취소 = 지난달 23일 경남·부산·대구·울산·경북 등 낙동강 연안 5개 자치단체는 대구에 모여 '낙동강운하 조기 건설 촉구 공동건의문'을 채택해 같은 달 27일 청와대 등에 전달했다. 이어 4일에는 경남도청에서 실무자들이 만나 후속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기약 없이 연기됐다. 도 민자사업팀 관계자는 "실무를 맡은 담당사무관이 대면 인사도 하고 이후 대책을 이야기할 예정이었으나 미뤄졌다"며 "이날 회의 날짜는 일찌감치 잡혀 있었지만 이틀 전부터 정부가 운하를 유보하겠다는 태도를 보여 일단 관망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낙동강운하는 대운하와 무관하게 조기 건설을 촉구하는 차원이지만 주무부서가 국토해양부이기 때문에 지방정부로는 정부 입장을 두고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용역도 연기 = 이와 함께 낙동강운하가 주변 지역에 미칠 영향 등을 알아보는 용역 발주도 미루기로 했다. 애초 낙동강운하 용역은 '내륙물길정비사업'으로 이번 추경예산안에 반영돼 원안 통과됐다. 이에 따라 이르면 이번 주 사업비 3억 8600만 원을 들여 경남발전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하기로 했다. 경남발전연구원은 자체적으로 진행하던 운하 연구에 더해 외부 전문가 등을 포함해 5명 정도의 용역팀을 꾸릴 예정이었다. 도 관계자는 "(용역 발주는) 더 검토해야 할 듯하다"면서 "조금 미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요컨대 정부는 광우병 쇠고기를 반대하는 촛불 집회가 대운하와 민영화 등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자 두 사안을 물 밑으로 잠재웠고, 낙동강운하를 추진하던 지자체는 정부 눈치를 보며 관망세로 돌아선 것이다. ◇영남투쟁본부 결성 = 그러나 어디까지나 보류 혹은 관망이지 대운하나 낙동강운하를 그만둔다는 의미는 아니다. 특히 경남은 낙동강운하를 광역경제권 개념의 '선벨트' 구상 중 하나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는 '대운하와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운하 사업의 주무부서는 국토해양부이기 때문에 상황을 주시한다는 것이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번 보류 선언 또한 정부의 '꼼수'라고 여기고 있다. 대운하 반대 여론이 늘자 총선 공약에서 대운하를 빼버린 것이나 검토하지 않겠다고 해놓고 비밀리에 기획단을 운영한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운하 반대 활동을 펼치던 시민사회단체가 낙동강운하를 정확히 지목하고 나섰다. 낙동강운하 조기 건설 건의문을 낸 5개 지자체에 있는 환경단체는 '대운하' 대신 '낙동강운하' 피켓을 들고 모인 것이다. 이들은 따로 '낙동강운하저지 영남투쟁본부'를 결성하고 4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낙동강운하 조기 건설 촉구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운하백지화국민행동의 경남·부산·대구·경북·울산본부가 뭉친 영남투쟁본부는 "낙동강변 5개 시·도지사가 낙동강운하 우선 추진을 요구한 것은 지나친 충성경쟁일 뿐"이라며 "이는 1000만 영남시민의 식수를 훼손하고 시민 의사를 무시한 단체장의 독단적인 행정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