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연합뉴스
등록일: 2008-06-18
<'정권퇴진' 정조준 '촛불시위' 한발 물러서나>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정권 퇴진 운동도 불사하겠다며 정부에 미국산 쇠고기 전면 재협상을 요구했던 '광우병 국민대책회의'가 17일 한발 물러선 듯 한 모습을 보였다. 대책회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정권퇴진운동 불사' 표현은 정치적 압박의 표현"이라고 말한 뒤 "정부의 실정을 어떻게 비판하고 정책의 변화를 어떻게 이끌어내는 가가 중요하다"며 규탄수준을 높이겠다고 강조했지만 이전과 사뭇 다른 뉘앙스를 풍겼다. 기록적인 인파가 참가했던 '6.10 항쟁' 기념집회 뒤 대책회의는 11일자 브리핑에서 "주권자의 명령을 거부한다면 국민은 이명박 정부퇴진을 위한 국민항쟁도 불사할 것을 선언합니다"라며 초강경 입장을 나타낸 바 있다. 정권퇴진운동이라는 말에는 강한 자신감이 묻어 있었다. 그 후 일일브리핑이나 기자회견에서도 정권퇴진운동은 여러 차례 전면에 등장했고 촛불 집회에서도 대책회의 관계자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렸다. 하지만 대책회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스스로 '정권퇴진운동 불사선언'을 집단행동 의미가 아닌 수사적 표현으로 깎아내리며 다소 멈칫거리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물론 대책회의는 "(일부 보수성향 언론매체가) 정권퇴진이라는 말이 나오니 상당한 의미를 부여하며 역풍을 노리는 데 정확하게 얘기하면 (정권퇴진운동은) 투쟁을 확산시키는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지만 물러서는 듯한 인상은 여전했다. 특히 대책회의 관계자는 "현 헌법상 선거로 선출된 대통령을 퇴장시킬 수는 없다. 내부에서도 정권퇴진운동 불사라는 슬로건을 드는 것에 여전히 논란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해 향후 투쟁 방향을 둘러싼 논란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런 가운데 서울광장에서 인터넷 생중계를 통한 '대국민토론회'를 제안한 것도 20일 정부 재협상 발표 시한을 앞두고 최근 부쩍 줄어든 촛불민심을 다시 한 번 끌어 모으기 위한 고심 끝에 나온 처방이라는 분석도 있다. 인터넷으로 생중계되는 국민적 토론회라는 행사를 통해 이탈한 여론을 다시 불러 모으려는 복안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대책회의는 "많은 언론들이 촛불대열이 빠지고 있다고 하지만 촛불을 든 국민들의 분노는 커져왔다고 생각한다. 6.10 이후 조정 국면이지만 평일에 2천∼3천 모이는 숫자가 작은 게 아니다"고 반박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