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등록일: 2008-06-19


<`시민 참여' 대구 음식쓰레기사태 해결> -연합뉴스 종량제 확대..음식쓰레기 감량 근본대책 필요 (대구=연합뉴스) 류성무 기자 = 대구지역 음식물쓰레기 민간 처리업체의 위탁처리 거부 사태가 발생 12일 만인 18일 일단락된 것은 결국 `시민의 승리'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거부 기간에 시민의 자발적 쓰레기 감량 노력 등이 협상타결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사)한국음식물자원화협회 영남권협의회 소속 민간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들이 지난 7일부터 전면 처리거부에 돌입한 이후 17일까지 대구지역에서 발생한 음식물쓰레기양은 하루 평균 567t이다. 이는 이번 사태가 발생하기 전 하루 평균 발생량 680t에 비해 113t(16.6%)이 적은 양이다. 대구지역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의 78%를 민간 업체들이 처리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시민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감량노력이 업체들의 처리거부를 직접적으로 무력화시킬 수 있는 정도는 아니었지만 업체들이 사태를 장기로 끌고 가는데 부담을 느낀 핵심 요인이었다는 후문이다. 한국음식물자원화협회 영남권협의회 최성근 회장이 "시민의 불편을 무시하면서까지 처리거부 사태를 지속할 수는 없었다"고 처리거부 중단 배경을 설명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대구시가 `원칙 대응' 방침을 고수한 것도 사태해결의 한 요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민간업체의 처리거부 돌입 직후 기자회견을 자청해 "2013년부터 음식물쓰레기의 해양투기가 금지돼 공공처리시설 증설이 불가피한 만큼 이를 반드시 추진하겠다"고 거듭 확인했다. 대구시가 2011년까지 하루 300t 처리용량의 음식물쓰레기 공공처리시설을 증축하겠다고 밝힌 것이 이번 사태의 출발점이었지만 원칙 부분에선 물러설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선 처리, 후 협상'에 민간업체와 시가 전격 합의하면서 사태가 일단락됐지만 앞으로 음식물쓰레기 감량 등 근본적인 대책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는 이와 관련해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확대 시행하고 음식물 감량 기기 확대 보급 등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30% 감량운동을 추진한다는 복안이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는 음식물을 버릴 때 미리 수수료 납부스티커를 구입, 개별 용기에 부착해 집 앞에 내놓도록 하는 제도다. 달성군과 남구, 북구가 이 제도를 이미 시행하고 있고 동구는 오는 7월, 중구와 수성구는 10월부터 각각 이를 시행할 방침이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