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연합뉴스

등록일: 2008-06-23


<'추가협상' 시민반응 "애썼다" vs "미흡하다"> -연합뉴스 "촛불집회 그만두고 힘 합쳐야" "설렁탕.사골탕.내장탕.곱창은 그래도 불안" (서울=연합뉴스) 사건팀 =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관한 정부의 추가협상 결과가 발표된 21일 시민들은 대체로 "협상단이 어려운 여건에서 노력을 많이 했다"는 평가를 내리면서도 "내장·등뼈 등에 관한 불안은 여전하다"는 지적도 내놨다. ◇일반 시민 = 상당수 시민들은 이번 추가협상이 어느 정도 만족스럽다고 평가하고 정부 발표 내용이 앞으로 제대로 이행되는지를 지켜보자는 반응을 보였다. 개인사업을 한다는 강호길(45)씨는 "오늘 추가협상 내용은 100% 만족할 수 없지만 정부도 노력할 만큼 한 것 같다"며 "이젠 냉정하게 미국과의 무역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생각하며 각자의 위치에서 제 할 일을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자영업자라는 백경흠(52)씨는 "촛불집회를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더 바라는지는 모르겠지만 30개월 이상을 수입하지 않게 됐으면 충분히 보완된 것 같다는 것이 내 생각"이라며 "촛불집회를 그만두고 모두 힘을 합쳐 국가발전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젊은 세대와 주부들 사이에서는 이번 협상에서 내장·꼬리뼈·사골 등에 대한 수입제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안전성 미흡'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았다. 회사원 안윤수(38)씨는 "협상결과 발표를 들어보니 등뼈와 내장을 그대로 수입한다는 것인데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결과"라며 "사실상 지난 노무현 정부가 30개월 미만의 살코기만 수입하겠다고 한 것보다 후퇴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주부 김모(33.여)씨는 "광우병 위험물질은 소량으로도 치명적일 가능성이 있는데 불확실한 연령구분만 믿고 수입된 내장이나 뼈까지 다 먹을 수는 없다"며 "정부가 추가협상을 했다지만 설렁탕, 사골탕, 내장탕, 곱창은 여전히 불안하고 소머리국밥만 해결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네티즌 = 쇠고기 사태 관련 토론이 활발하게 벌어졌던 사이버 공간에서는 추가협상 결과에 만족하지 못한 네티즌들의 비판이 우세한 가운데 이번 정부 협상 결과를 높이 평가하는 이들도 목소리를 높였다. 아이디가 'haradoru'인 네티즌은 "30개월 이상 쇠고기라도 수입금지할 줄 알았더니 `신뢰가 개선될 때까지' 수입을 멈춘다고 발표했다. 결국 여론이 잠잠해지면 월령 구분 없이 미국 쇠고기를 마구 들여오겠다는 뜻 아니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하지만 `고려'라는 필명을 쓰는 네티즌은 광우병 국민대책회의 홈페이지(www.antimadcow.org) 게시판에 글을 올려 "비록 재협상은 아니지만 재협상에 준하는 결과를 얻었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앞으로 지켜보자. (대통령이) 뼈저리게 반성한다고 했으니깐 잘 할 거라고 믿어 보자"고 말했다. ◇시민단체들 = 시민단체들 사이에서도 이번 추가협상 결과에 대한 평가가 엇갈렸다. 소비자·식품안전운동 단체나 진보성향 단체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소비자와 국민이 충분히 안심할만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다. 전성환 한국YMCA전국연맹 정책기획국장은 "기본적으로 미흡한 협상"이라고 평가하며 "정부가 이번 추가협상을 통해 머리 부위 등 일부 특정위험물질 추가 제거를 얻어내긴 했지만 이는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곳곳에 분포된 림프선에 광우병 발병 물질이 모이므로 한 곳만 떼어낸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며 "소비자운동 관점에서 보면 미국 내 동물성 사료 문제가 정리되지 않는 한 불안이 해결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에 반해 보수 성향 단체들은 추가협상 결과에 만족감을 표시하면서 더 이상 미국산 쇠고기 반대를 외쳐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뉴라이트전국연합 변철환 대변인은 "연령 제한 등 추가협상 내용은 만족할만한 수준의 결과다"며 "더 이상 미국산 쇠고기를 문제 삼는 것은 미국소 전체에 대한 수입 반대를 주장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이제는 양국 정부의 검역능력을 신뢰해야 한다"고 말했다. 선진화개혁추진회의 권혁철 사무처장도 "이번 결과가 국민에게 완전한 안심을 줄 수는 없어도 정부의 노력은 증명됐다"며 "이제는 국정의 안정성과 국가경제를 생각해 성난 민심을 누그러뜨릴 때가 됐다"고 밝혔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