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헌재 "지방선거비 지자체 부담은 당연" -연합뉴스
등록일: 2008-06-26
헌재 "지방선거비 지자체 부담은 당연"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지방선거 비용을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도록 국회가 법을 개정한 행위는 지자체의 자치권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나왔다. 헌재 전원재판부(주심 이공현 재판관)는 26일 서울 강남구 등 14개 지자체가 "선거는 국가의 고유사무임에도 불구하고 지방선거 비용을 지자체에 부담시키는 것은 자치재정권을 침해한다"며 국회를 상대로 낸 권한쟁의심판 사건을 기각했다. 국회는 2000년 2월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 방지법' 제122조의 2를 신설해 선거비용을 후보자가 부담하되 일정한 경우 국가나 지자체가 보전해주도록 규정했고 2004년 3월 이 조항을 다시 개정해 선거비용 보전 요건과 대상을 확대하면서 선거비용의 부담주체를 원칙적으로 국가나 지자체로 변경한 뒤 2005년 8월 법률 명칭을 공직선거법으로 개정했다. 이에 강남구 등 지자체들은 2006년 5.31 지방선거 때부터 부담할 선거비용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고 2005년 10월1일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했다. 재판부는 "지방의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을 선출하는 지방선거사무는 지자체의 존립을 위한 자치사무에 해당하고, 다른 기관이 그 사무를 맡아서 하고 있더라도 비용은 지자체가 부담하는 것이 지방자치제도 실시 취지에 비춰 당연하다"며 지방선거비용을 지자체가 부담토록 공직선거법을 개정한 것은 자치권 침해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지자체의 재정을 파탄 낼 정도의 과도한 재정 부담을 초래하는 입법행위를 하는 것은 지자체의 재정권 침해행위가 될 가능성이 있지만 지자체장이 국가에 보조금을 신청할 수 있고 실제 5.31 지방선거에서도 국가가 지방선거 비용의 상당부분을 지원했으므로 재정권을 침해할 정도로 부담을 지운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