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농도 계속 증가" -연합뉴스
등록일: 2008-06-27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농도 계속 증가"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 우리나라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기상청이 발간, 배포한 '2007년 지구대기감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1999년 관측을 시작한 이래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지난해 390.0ppm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1999년의 370.2ppm보다 5% 늘어난 것으로 매년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율은 2.4ppm으로 집계됐다. 이 보고에는 충남 안면도에 위치한 기후변화감시센터 등 기상청의 기후변화감시망에서 관측한 2007년 온실가스 농도와 오존량, 산성비, 자외선 등의 관측결과를 수록하고 있다. 하지만 메탄의 대기농도는 1999년 1천884ppb에서 2003년과 2004년 각각 1천900ppb와 1천894ppb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가 지난해에는 1천892ppb로 낮아졌다. 1999∼2007년까지 연평균 농도 증가율은 2.0ppb로 전체지구 평균(2.4ppb)과 비슷했다. 아산화질소의 대기농도는 1999년 314.2ppb에서 2007년 321.2ppb로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고 연평균 농도 증가율은 0.8ppb로 전체 지구 평균(0.76ppb)과 유사했다. 지난해 처음으로 관측한 육불화황의 대기농도는 7.77ppt로 전체 지구 평균 농도수준인 6.0ppt를 크게 웃돌았다. 서울 상공의 오존전량은 1985년 이후 매년 평균 0.1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청정지역인 안면도와 울진, 고산, 울릉도의 지난해 평균 강수산성도는 pH 4.70으로 집계됐다. 이는 1997년부터 작년까지의 평균 강수산성도(pH 4.87)보다 낮은 것이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