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강기갑 의원 '광포만 매립 동의 각서' 서명 논란 -오마이
등록일: 2008-07-08
강기갑 의원 '광포만 매립 동의 각서' 서명 논란 -오마이 경남환경운동연합 "소신 저버린 것"...강기갑 의원 측 "주민 요구가 거세서..." 새만금 간척사업에 반대했던 민주노동당 강기갑 의원이 지역구인 경남 사천 광포만은 매립해도 좋다는 동의각서를 써준 것으로 알려지자 환경단체가 '발끈'하고 나섰다. 진주·마산창원진해·통영거제 등으로 구성된 경남환경운동연합(상임대표 신석규)은 8일 논평을 내고 강기갑 의원에 대해 '유감'을 표시했다. 강기갑 의원은 7일 국회의원실을 찾아온 사천지역 공무원과 시민 70여명을 만나 매립 동의각서에 서명했다. 이날 버스 2대를 타고 상경한 사천주민들은 "지역경제발전을 위하여 광포만을 매립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강 의원은 "개인적으로 반대하지만 마을사람들이 매립하자면 해야지"라며 주민들이 내민 "매립에 동의한다"는 내용의 각서에 서명했다는 것. 사천시와 지역민들은 광포만을 매립해 조선산업단지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환경단체는 논평을 통해 "광포만 매립 동의각서에 서명한 것은 평소 강기갑 의원이 내세우던 정치인으로서의 소신을 저버린 것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경남환경운동연합은 "강기갑 의원이 평소 사천시 지역구 출신 국회의원으로 지역 발전에 대한 지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많은 고민을 해 왔음을 잘 알고 있다"면서도 "아무리 매립을 찬성하는 지역민들이 찾아와 회유와 협박을 일삼으면서 매립을 주장한다 하더라도 신중한 판단을 내릴 시간조차 가지지 않고 그 자리에서 광포만 매립에 동의한다는 내용의 각서에 서명한 것은 결코 현명한 행동이었다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한순간의 신중하지 못한 판단으로 농업과 생명을 소중히 하겠다는 그의 정치적 소신에 오점을 남겼으며, 지구적 가치의 철학이 없는 기성 정치인과의 차별에도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광포만에 대해 환경단체는 "광활한 갯벌 면적과 더불어 전국 최대의 갯잔디 군락지가 형성되어 있는 곳으로 전국의 환경단체들이 꼭 보전해야 할 갯벌로 꼽고 있으며, 경상남도조차도 람사르습지로 등록하기 위해 추진했던 곳"이라며 "최근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대추귀고둥이 전국 최대 규모로 서식한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광포만 갯벌의 보전가치가 더욱 높아졌다"고 밝혔다. 환경단체는 "새만금 간척사업을 반대하였던 강기갑 의원이라면 아무리 지역구 유권자들의 개발욕구가 크다 하더라도 광포만 매립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계속 유지했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 단체는 "민주노동당 사천시위원회는 광포만 매립에 대해 원칙적으로 반대한다는 입장을 최근 의결하기도 하였다"면서 "광포만이 매립될 경우 가장 직접적인 피해를 받게 될 조도어촌계가 광포만 매립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고 판단을 유보한 상황임을 감안할 때 강기갑 의원의 매립 동의각서 서명은 너무나 성급하였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 단체는 "강 의원의 동의사태는 유감이나, 국가적 자산인 갯벌이 공유수면은 지역구 국회의원이 동의한다고 해서 쉽사리 매립되어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고 밝혔다. 중앙연안관리심의회는 8일 오후 사천 광포만과 하동 갈사, 남해 서면, 마산만 양덕지구, 진해만 명동·수치 지구를 비롯해 전국의 연안 26건의 매립계획에 대한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반영을 심의한다. 강기갑 의원의 한 보좌관은 "최대한 설득하기는 했지만 해당 주민들의 요구가 거셌고, 주민들은 이미 바다가 죽었다며 매립 이외에는 답이 없다고 했다"며 "강 의원은 심정적으로는 동의하지 않지만 주민의 이익을 대변하고 십자가를 지겠다는 자세로 동의해 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