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김지사 "낙동강운하 포기는 직무유기" -도민일보
등록일: 2008-07-09
김지사 "낙동강운하 포기는 직무유기" -도민일보 기자 간담회서 강행 뜻 밝혀…인사청문회 도입에는 부정적 김태호 도지사가 "낙동강운하 포기는 직무유기"라며 낙동강운하를 계속 추진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김 지사는 8일 오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정부 입장만 고려해 대운하 백지화를 선언한 것은 직무유기에 해당한다"며 "정부가 대운하를 포기한다고 경남도가 덩달아 포기하면 이는 경남도의 직무유기"라고 못 박았다. 그러나 김 지사의 '낙동강운하'는 뱃길정비가 아닌 낙동강 준설을 포함한 치수를 가리켜, 엄밀히 말하면 정부의 대운하와는 개념이 달랐다. 김 지사는 "운하라는 거창한 사업이 아니라 고질적인 문제를 풀기 위한 건의"라고 하면서도 '낙동강운하'라는 표현은 바꾸지 않았다. 김 지사는 "해마다 엄청난 인명과 재산피해가 나고 1조 원 이상의 복구비가 든다. 이런 고질적인 문제에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낙동강운하의 중심이 준설임을 말하면서도 "준설을 해놓고 배가 다닐 수 있으면 더 좋고…. 배가 다니고 안 다니고는 두 번째 문제"라고 덧붙였다. 또 안상근 정무부지사가 7일 "낙동강운하는 도의 의지만으로는 안 된다"고 말한 데 대해서는 "정부가 도와주지 않으면 탄력을 잃는다는 뜻"이라며 "그러나 정부도 경남도의 요구를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 지사는 최근 도의회에서 제기한 고위간부 인사청문회 추진에 대해 "이론적으로는 맞을지 몰라도 자칫 도정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고 말한 후 "제도 도입에 대한 여러 문제를 검토하고 고민해보겠다"고 밝혀 사실상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