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인조잔디 유해성 논란 다시 불거져 -연합뉴스
등록일: 2008-07-09
인조잔디 유해성 논란 다시 불거져 -연합뉴스 과천 문원초교 학부모들 사업 철회 요구 (수원=연합뉴스) 박기성 기자 = 정부의 정책 사업으로 각급 학교 운동장에서 조성하는 인조잔디의 유해성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약칭 학사모)은 9일 경기도 과천 문원초등학교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학교의 인조잔디 설치 계획을 전면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학부모를 상대로 인조잔디 설치를 거부하는 서명운동을 벌이는 한편 과천지역 시민단체들과 연대해 인조잔디 사업에 반대하는 범시민운동을 펼치기로 했다. 학사모 경기지역 대표 전성희 씨는 "교육부의 안전기준에 미달해 시설을 전면 교체한 인조잔디에서도 여전히 유해물질이 검출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2006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학교 운동장 인조잔디 조성 사업은 시행 첫 해부터 유해성 논란을 빚었다. 일부 학교에서 바닥의 모래와 인조잔디 사이에 집어넣는 충진재로 폐타이어를 모래 크기로 분쇄한 것을 사용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교육부가 지난해 9월 조사를 벌여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43개 학교의 인조잔디 시설을 재시공하도록 했다. 이런 가운데서도 유해성 논란은 계속돼 경북 경산의 한 초등학교가 최근 학부모들의 반대 속에 공청회를 열어 찬반 투표를 하고서야 인조잔디를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경기 안산 상록초등학교도 지난해 인조잔디 설치 문제를 놓고 학교 측과 학부모들의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서는 바람에 시공이 지연됐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인조잔디를 설치하면 흙먼지가 사라져 좋을 것이라는 생각과 아이들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의견이 엇갈리긴 해도 지금까지는 별 무리 없이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이 사업을 통해 지난해까지 36개 초중고교에 인조잔디를 설치했고 올해 19개교에 추가로 설치하는 등 2010년까지 91개 학교에 인조잔디를 조성할 예정이다. 학교당 5억 원 안팎이 드는 인조잔디 설치 비용은 중앙정부 및 각 지자체 예산과 국민체육진흥공단 기금 등으로 충당된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