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더위 먹은 경남도 폭염 대책 -도민일보
등록일: 2008-07-10
더위 먹은 경남도 폭염 대책 -도민일보 휴식 권고·행동요령이 전부…'폭염'도 자연재해로 인정돼야 경남도는 9일 '여름철 자연재난대비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경남에 찜통더위가 시작된 지 5일째, 3명의 노인이 일사병이나 열사병으로 사망한 뒤였다. 도는 이날 이번 종합계획의 슬로건을 '한 발 앞선 재난대응'이라고 밝혔지만, 폭염에 관한 한 '한 발 늦은 재난대응'이라는 비난을 면할 수 없게 됐다. 게다가 폭염은 '자연재해대책법'과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등에 명시돼 있지 않아 더위로 사람과 가축이 죽어도 전혀 보상받지 못하고 있다. 날씨가 더운데도 바깥에 나다닌 노인이나 축사 온도를 제대로 낮추지 못한 농민 '개인 몫'이라는 것이다. <관련기사 4면> ◇"더우면 마을 정자 가세요" = 이날 도가 발표한 '여름철 폭염 대응' 내용은 △폭염 특보제 운영 △재난부서·보건복지부서 합동 TF 구성 △'무더위 쉼터' 운영 △폭염특보 발표 시 휴식 권고 △폭염특수구급대 운영 △폭염특보 시 국민행동요령 배부와 홍보 등이었다. 여기서 '무더위 쉼터'는 마을 정자나무 아래나 에어컨이 설치된 노인정·마을회관을 말한다. 이에 도민 3명이 더위로 사망한 뒤 발표한 도의 '폭염 대책'이라고 내놓기에는 빈곤하다는 지적이다. 도 치수방재과 관계자도 이를 일부 시인했다. 그러나 폭염을 주요 자연재해로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 집중호우와 태풍만큼 신경을 쓰기 힘들다고 털어 놓았다. 도 관계자는 "올해 더위는 예년에 비해 20일 정도 일찍 와 오랜 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폭염과 관련한 사망사고가 발생한 뒤라서 (도 대책은) 늦은 측면이 있다"고 인정했다. ◇더위는 알아서 피하라? = 폭염으로 숨진 도민에 대한 보상 대책을 묻자 도 관계자는 소방방재청에 올라온 민원과 그 회신 자료를 제출했다. 소방방재청 홈페이지 참여마당 '신문고'에 올라온 민원은 "폭염주의보 등이 발령돼 그 당시 피해(가축 폐사·주민 사망)가 발생했을 경우 '자연재해대책법'과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명시돼 있지 않으나 보상이 가능한지 여부가 궁금하다"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소방방재청은 폭염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실내외 환경조건, 연령, 건강상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기 때문에 그 피해가 폭염에 의한 직접적인 것인지를 단정하기 어렵고, 가축 폐사와 같은 사유재산 피해는 폭염에 대비해 시설물을 가동해 온도를 낮춰주는 행위 등을 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자신의 관리 소홀에 의한 피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고 적시했다. ◇폭염도 재해로 인정돼야 = 결국 날씨도 더운데 밭일을 하러 나간 90대 할머니와 축사의 온도를 제대로 낮추지 못한 농민의 '관리 소홀'이라는 것이다. 축산과 관계자도 "피해를 본 사람이 가축공제회 등에 가입돼 있으면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개인적으로 대처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연재해로서 폭염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 94년부터 2005년까지 여름 철 서울·대구·인천·광주 지역에서 더위로 사망한 사람은 2127명으로 각종 기상재해로 인한 사망·실종자(1219명)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 관련법령이 미비하기 때문에 자치단체의 책임이 없다고 할 수도 없다. 9일 오전에 발견된 합천의 90대 할머니는 사망시간이 8일 오후 2시로 알려져 자치단체의 노인 관리가 허술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폭염은 자연재해법이나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재해로 인정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보상 대책도 없다"며 "도는 최근 폭염이 심각하다고 보고 소방방재청에 이에 대한 규정을 만들어 줄 것을 적극적으로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