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우후죽순 경남골프장 문제는 없나]①전국·도내 골프장 현황 -도민일보
등록일: 2008-07-14
[우후죽순 경남골프장 문제는 없나]①전국·도내 골프장 현황 -도민일보 2001년 전국 154곳에서 2007년 280곳으로 …면적은 서울시 절반 크기 경남 현재 15곳 운영 · 15곳 건설 중 · 인허가 준비 9곳 · 추진예정 14곳 경남도내에도 골프장이 우후죽순처럼 건설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15개소 외에 추진 중인 골프장이 모두 건설되면 모두 53개소에 이를 예정이다. 골프장 건설로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다. 자치단체는 골프장 조성에 열을 올리고, 마땅한 투자처를 잃은 자본은 골프장으로 쏠리고 있다. 정부는 세금감면과 개발절차 간소화 등으로 골프장 건설을 부추기는 형국이다. 현재 골프장 건설은 환경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면에서도 신중하게 따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일본은 1990년대 수백 개의 골프장이 줄도산했다. 우리나라도 제주를 비롯한 비수도권 일부 골프장은 이미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곧 전국 400곳 '빠끔한 데가 없다' 이에 따라 경남도민일보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골프장이 과연 환경과 생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제 골프 수요에 비해 골프장이 모자라는 건지 △골프장이 실제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지 △인·허가 및 건설과정의 문제점은 없는지 △이미 도산 사태를 겪고 있는 일본의 골프장 실태는 어떤지 △우리나라의 골프장 정책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 지 등을 전반적으로 짚어보기로 했다. 이 기획취재는 매주 월요일자 17면에 모두 13~15회에 걸쳐 연재될 예정이다. ◇전국 골프장 면적, 서울시 절반 크기 = 골프장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2001년과 견주면 2007년 말 현재 운영 중인 골프장 숫자와 면적은 2배 가까이 늘었다. 현재 103곳이 건설 중이고 착공예정인 19곳을 더하면 2∼3년 내 전국 골프장은 400곳이 넘을 전망이다. 문화관광체육부 전국 등록·신고 체육시설업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1년 154곳 1억 5999만여㎡(4838만여 평)이었던 골프장은 2007년 말 현재 280곳에 2억 7318만여㎡(8227만여 평)로 늘어났다. 이런 전국의 골프장 면적(273㎢)은 2007년 말 기준으로 서울특별시(605.33㎢)의 절반, 경남 창원시(292.70㎢)와 비슷한 넓이다. 골프장은 스키장 등 등록·신고 체육시설 전체 면적의 85%를 차지한다. 여기에다 현재 건설 중이거나 미착공 예정지까지 합치면 거의 서울시 면적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골프장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로 106곳 1억 1676만여㎡에 달한다. 다음으로 제주가 34곳(2669만여㎡), 강원 33곳(2793만여㎡), 경북 24곳(2307만여㎡), 전남 17곳(1355만여㎡), 경남과 충북이 각 15곳, 전북 8곳 등의 순이다. 특히 광주는 지난해까지 골프장이 1곳도 없었지만, 올해 3곳이 건설 중이어서 16개 광역시·도 모두에 골프장이 들어설 전망이다. 서울은 비등록 특수회원제 형태로 운영하는 남성대(18홀·91만㎡)와 태릉(18홀·83만㎡) 골프장 2곳이 있다. 한편, 기초자치단체 중 골프장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 여주군이다. 경기 여주군은 2007년 말 현재 회원제 6곳과 대중 7곳 등 무려 13곳의 골프장이 운영 중에 있다. ◇경남도 골프장 폭발적 증가 = 경남에는 더욱 폭발적으로 골프장이 늘고 있다. 경남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운영 중인 골프장은 15곳이다. 그러나 현재 15곳이 더 건설 중이고 인·허가 준비 중인 곳도 9곳이나 된다. 여기에 의령 자굴산 골프장, 통영 산양 골프장 등을 추진예정지역 14곳까지 더하면 경남은 약 53개소에 이를 전망이다. 지난 2001년 경남의 골프장은 8곳 1209만㎡였다. 그러다가 지난 2005년 2곳이 늘어 10곳 1534만여㎡, 2006년 4곳이 늘어 14곳 1699만여㎡, 2007년 1곳이 더 늘어 지금은 골프장이 15곳 1838만여㎡에 이른다. 양산이 4곳으로 경남에선 골프장이 가장 많다. 다음으로 김해가 3곳, 남해 2곳(대중 9홀+대중 9홀), 창원·진주·진해·함안·창녕·합천 각 1곳이다. 이런 가운데 골프장을 추가 건설 중인 곳은 사천 3곳, 밀양·창녕·의령·거창 각 2곳, 김해·양산·거제 각 1곳 등 15곳 1365만여㎡에 달한다. 이밖에도 고성·하동 각 2곳, 양산 1곳, 밀양 1곳, 거제 1곳, 남해 1곳, 함양 1곳 등 9곳에 811만여㎡ 규모의 골프장이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이들 골프장이 모두 들어서면 경남은 39곳 4014만여㎡에 달한다. 이처럼 골프장이 크게 늘면서 경남 곳곳에서 골프장 인·허가와 건설 등을 두고 사업자와 주민 간에 마찰이 빚어지고 있다. 특히 토지매입 등의 과정에서 사업자가 부리는 농간(?) 등으로 해당 지역주민들은 찬·반으로 갈려 서로 불신하며 마을공동체가 멍들어가고 있다. 한편, 하동군 옥종면 종화리에 조성 중인 덕원관광농원의 미니 골프장(?)을 두고 최근 환경단체와 사업자·하동군 간에 갈등을 빚고 있다. 경남환경운동연합은 이달 초 "덕원관광농원이 조성하는 2만㎡ 규모의 골프연습장은 체육시설법을 위반한 것"이라며 사업승인 취소와 원상복구를 요구하며 검찰에 고발했다. 하동군은 이에 대해 "등록체육시설인 대중골프장이 아니므로 골프장의 입지기준 및 환경보전에 관한 규정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정부 정책도 골프장 건설 부추겨 = 정부는 지난 4월 골프산업을 신성장 서비스 산업으로 만들겠다면서 수도권 이외 지역의 회원제골프장에 대한 취득세 중과를 10%에서 2%로 크게 낮추고, 토지분 및 건축물분 재산세 세율도 4%에서 2%로 내리는 방안을 마련·발표했다. 특히 정부는 이번 세율조정으로 지방골프장 이용가격이 세금 인하분 이상으로 더 낮아진다면 중국, 일본, 동남아 등과 가격경쟁력이 생겨나 이들 국가로 떠나는 해외원정골프 수요가 국내로 상당 부분 흡수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는 또 골프장 등 각종 개발사업 절차를 간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사전환경성검토와 환경영향평가 제도를 병행 운영해 개발협의절차가 복잡하고 평가에 오랜 기간이 걸려 사업자가 부담스러워하고 있다며 법 보완을 검토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내 대기업들이 골프장 건설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삼성그룹은 안양베네스트 등 전국 5개 골프장 108홀 규모로 대기업 중에서는 1위다. 이런 가운데 GS와 한화그룹이 골프장 확장에 뛰어들었다. GS건설은 현행 90홀 규모에 이어 경남 사천에 27홀 짜리 골프장을 건설하면서 머지않아 117홀 규모로 1위로 올라설 전망이다. 한화는 현재 운영 중인 81홀 외에 충남 태안에 27홀 규모의 골프장을 착공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17년 넘게 골프장업계에 몸담아온 도내 한 골프장 관계자는 "정부가 마구잡이식으로 골프장 인가를 내어준다면 서로 힘든 싸움이 될 것"이라며 "수도권 골프장도 이미 주중 부킹은 그렇게 힘들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정부는 골프장 확충과 감세정책 등을 통해 우리나라 골퍼들의 해외원정골프를 막겠다고 하지만, 정작 골퍼들이 해외원정을 가는 건 반드시 부킹이 어려워서가 아니다"며 "이대로 골프장이 늘어난다면 일본처럼 도산하는 골프장이 생겨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