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연합뉴스
등록일: 2008-07-25
<이주여성 인권침해 사유 1위는 '이웃 때문'> -연합뉴스 (대구=연합뉴스) 이덕기 기자 =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 이주 여성들이 인권침해를 당하는 이유로 `이웃들의 성숙하지 못한 사고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나타났다. 25일 경북대에 따르면 농경제학과 4학년 김하영(23.여)씨 등 재학생 3명이 최근 대구(70명)와 경상남도 창녕군(66명) 주민 136명을 대상으로 `농촌지역 결혼 이주 여성에 대한 인식'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농촌지역 이주여성이 인권침해를 당하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33.7%(36명)가 `이웃들의 성숙하지 못한 사고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이어 `(이주여성의) 언어적ㆍ경제적 능력부족'이 29.4%(40명), `가족들에 의해서'가 14%(19명)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또 `이주여성이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는 56.6%가 `그렇다'로 답변, `아니다'는 답변 19.8%와 대조를 이뤘다. 외국인 이주 여성과의 국제결혼을 바라보는 시각에서는 도시와 농촌지역 주민들 간에 뚜렷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형제나 친구 등 지인과 이주여성과의 국제결혼에 대한 입장'에 대해 도시지역 응답자(70명) 가운데 8.5%(6명)만 반대한 반면 농촌지역 응답자(66명) 가운데서는 28.8%(19명)가 반대 의사를 피력, 농촌지역 주민들이 도시지역에 비해 이주여성과의 결혼으로 붕괴된 가정을 상대적으로 많이 접했기 때문에 부정적 의견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농촌지역 국제결혼 증가를 허용해야하느냐'는 물음에도 도시지역 응답자의 14.3%가 반대 입장을 피력했으나 농촌지역 응답자는 33.4%가 반대 의사를 보였다. `이주여성의 외모가 한국인과 비슷하기를 희망하느냐'는 질문에는 도시지역에서는 41.5%가 `그렇다'고 답변했으나 농촌지역에서는 63.7%로 월등히 높아 농촌지역 주민들이 자녀의 외모와 이로 인한 한국사회의 차별을 훨씬 더 의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하 씨 등은 이 같은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한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도시. 농촌의 의식 비교 분석' 논문으로 최근 한국농업정책학회 대학생 논문경진대회에서 한국농촌공사 사장상을 받았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