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우후죽순 경남골프장 문제는 없나]④ 골프장 천국 용인시를 가다 -도민일보

등록일: 2008-08-04


[우후죽순 경남골프장 문제는 없나]④ 골프장 천국 용인시를 가다 -도민일보 산마다 골프장 … 웃는 이는 골퍼뿐 경기도 용인시에는 골프장이 26개소나 있다. 전국 자치단체 중 가장 많다. 골프장이 용인시의 지역경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지, 부작용이나 피해는 없는지 궁금했다. 지난달 30·31일 이틀간 골프장 천국으로 불리는 용인시를 찾았다. 하지만, 용인시나 환경단체 어느 곳도 골프장이 지역경제나 주민생활, 환경 등에 미친 영향을 정리한 자료를 내놓지 못했다. 없다는 것이었다. ◇웬만한 산은 모두 골프장 = 고속국도 나들목에서 용인 땅으로 내려서자 전국 최다 골프장 도시임을 자랑하듯 골프장 안내판이 곳곳에서 눈에 띈다. 현재 26개 업체 운영…시 4곳 추가건설 계획 용인 땅에서 현재 운영 중인 골프장은 회원 16곳, 대중 8곳으로 모두 26곳이다. 홀수는 회원 486홀, 대중 99홀로 모두 585홀이다. 골프장 면적은 31㎢가 넘어 930만 평이 훨씬 넘는다. 용인시 전체 면적(591.32㎢)의 5%가 넘고, 임야 면적(329.62㎢) 중에서는 10%를 차지한다. 골프장은 1970년 한원컨트리클럽을 시작으로 70년대 3곳, 80년대 5곳이 만들어졌고, 90년대 16곳이 들어서면서 폭발적으로 늘었다. 2000년대 들어서도 2곳이 건설됐다. 용인은 서울에서 1시간 이내로 가깝고, 경부·영동·중부고속국도 등 도로망이 좋으며, 산세가 높거나 험하지 않아 골프장이 많이 들어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용인시는 지난해 말 도시관리계획 결정 안을 발표하면서 4곳의 골프장에 대한 추가 건설계획을 공고했다. 용인지역의 웬만한 산에는 모두 골프장이 들어서게 되는 셈이다. ◇용인시, 골프장 효과 "모름" = 전국에서 골프장이 가장 많은 용인시. 골프장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게 있으며, 어느 정도일까. 그러나 시는 구체적인 관련 자료를 갖고 있지 않았다. 지방세·관광객·고용·상권 확대효과 '글쎄' 용인시 관계자는 "세수입에 일부 도움 되는 정도만 파악하고 있을 뿐 구체적으로 정리한 자료는 없다"고 말했다. 시에 따르면 26개소의 골프장이 지난해 낸 지방세는 모두 448억여 원이었다. 이중 시세는 368억여 원이고 나머지는 도세였다. 용인시의 전체 재정규모는 1조 8092억여 원(2008년 1회 추경 기준)으로 지방세 수입은 5648억이었다. 골프장으로 얻는 지방세 수입은 6%쯤인 셈이다. 한국골프장경영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용인지역 18곳(회원제이거나 대중 병행) 골프장을 이용한 숫자는 195만여 명이었다. 그러나 용인 삼성에버랜드 한 곳에 연간 1000만 명, 한국민속촌만 해도 연간 200만 명이 이용한 것과 비교해보면 골프장으로 인한 관광객 유입은 많지 않은 셈이다. 한화리조트와 국가보훈처에서 운영하는 2곳의 골프장을 뺀 16개 골프장의 감사보고서를 살핀 결과, 전체 매출액은 4048억여 원이었다. 이중 임직원 급여나 세금 등으로 쓰이는 '판매·관리비'는 1500억여 원이어서 해마다 1000억 가까이가 용인에만 풀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들 18곳 골프장의 상시종업원수는 1300여 명에 불과해 1곳당 평균 100명이 안 됐다. 가장 적은 골프장은 20여 명에 불과했다. 대부분 일용직으로 일하는 셈이다. ◇골프장, 골퍼만의 전용공간 = 1박 2일 동안 용인지역 26개 골프장 중 11곳을 둘러본 결과, 골프장은 철저히 골퍼만을 위한 전용 공간이었다. 대부분 산 속에 있는데다 입구에서부터 경비원이 차량을 살피고 통제해 출입 자체가 까다로웠다. 회원제 골프장은 사유지여서인지 통제가 더 심했다. 마을 주민이나 지역주민이 예전 같으면 어느 때고 자유롭게 오를 수 있었던 산이었지만, 골프장 조성으로 지금은 일부 또는 전부를 잃어버린 셈이다. 골프장 개발업자들은 대개 "골프장이 들어서면 주변에 음식점도 생기고 상권이 형성된다"며 "마을 주민에게도 없을 때보다 낫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골프장 덕분에 지역상권이 새롭게 형성된 곳은 용인에 사실상 없었다. 70년대에 지어진 골프장도, 90년대 들어선 골프장 주변도 마찬가지였다. 회원제 골프장과 대중제 골프장도 차이가 없었다. 직접 둘러본 11곳 중 주변에 음식점이 아예 없는 골프장이 더 많았고, 있더라도 3∼5곳에 불과했다. 그나마 공장, 낚시터 등을 끼고 있는 골프장 주변이었다. 음식점 주인들은 "용인에서 골프장만 보고 장사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라며 "낚시터나 공장 등 주변에 상권이 있어 장사하는 곳이 대부분"이라고 입을 모았다. ◇"골프장, 더 이상은 안 된다" = 용인시가 지난해 11월 골프장 4곳에 대한 추가조성계획을 공고하면서 용인에서도 골프장 반대대책위가 꾸려지는 등 반대 운동이 조직화되고 있었다. 지난해 12월 골프장 예정지역 주민대책위와 용인환경정의연합, 용인참여자치시민연대 등 16개 단체는 '용인시 골프장건설반대 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들은 "2020 도시계획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골프장 건설안은 졸속·밀실행정의 표본"이라며 농업용수 고갈과 지표수 오염우려 등을 들어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 "골프장을 통한 세수확보는 앞으로 남고 뒤로 밑지는 행정"이라며 "더구나 도산 우려와 세금 감면 등으로 세수확보의 지속성에 빨간 불이 켜지고 있고, 하천 건천화로 인한 환경비용이 골프장에서 얻는 세수입을 능가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춘식 골프장반대대책위 관계자는 "골프장으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가 드러난 곳은 많지 않다"면서도 "그렇다고 피해가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골프장에서 지하수를 많이 사용함으로 인해 옛날 빨래터나 산속의 옹달샘이 현재 말랐거나 마르고 있다"면서 "그러나 지역민들이 광역상수도를 사용하다보니 이런 것을 느끼지 못하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