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기초의원 유급제 후 큰 효과 못 봤다 -경남일보
등록일: 2008-08-05
기초의원 유급제 후 큰 효과 못 봤다 -경남일보 정당공천제로 각 분야 대표성 흐려져 일부의회 과도한 의정비 책정도 문제 지방기초의원 유급제가 실시 이후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흥석 고려대 교수는 최근 발표한 ‘지방의원 유급제 실시효과’논문에서 “지방기초의원들이 유급제 도입 이후 학력수준이 높아지고 연령이 낮아지는 등 전문성을 위한 발판이 마련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괄목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며 “오히려 정당공천제가 기초의원에까지 파고들어 상·광·공업 종사자 출신 대신 지방의원, 정치인, 무직의 비중이 늘고 있는 등 각 분야의 대표성이 흐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전국 24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유급제 도입 이전인 3대 지방선거(2002년)와 도입 이후인 4대 지방선거(2006년)를 비교분석한 결과 기초의원의 평균 연봉은 2772만원 수준으로 의정활동비, 회기 수당 대비 30% 올랐다. 도내의 경우 현재 진주시(3850만원)를 비롯해 창원(3720만원), 마산(4123만원), 사천(3270만원), 김해(4140만원), 양산(4112만원) 등 평균을 훨씬 상회하고 있다. 최 교수는 우선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의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7%에서 15.5%로 증가했고, 연령대 또한 유급제 도입 전후와 비교해 40대 의원비중이 전체의 38.7%에서 42.2%로 증가한 점을 들며 지방의정활동 관련 전문성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당선된 의원들의 직종을 볼 때 유급제 도입 이후 지방의원 및 정치인이 당선된 비중이 유급제 도입 이전과 비교해 약 7.2%의 비중으로 증가한 반면, 상광공업 분야에 종사하는 후보가 당선된 비중은 5.2% 감소된 것으로 조사돼 의정 대표성이 크게 훼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특히 “지방의회를 운영하는 데 있어 중앙당의 의사에 의존하고 있는 지방의원이 지역민에 반하는 당론을 따라 활동을 할 가능성이 커 유급제 효과를 크게 반감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흥석 교수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5대 지방의회는 13인 이하 기초의회의 상임위 설치가 제4기 때 57.3%보다 많은 62.6%로 향상되는 등 긍정적인 면이 보이고 있지만 효과의 측면에서 보면 경남지역을 포함한 일부 지방의회의 과도한 의정비 책정은 합리적인 분석으로 돌아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