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등록일: 2008-08-07


<광복절 `마지막 거리촛불' 되나> -연합뉴스 소규모 거리집회는 이어질 듯 (서울=연합뉴스) 이준삼 기자 = 광우병국민대책회의가 광복절을 기점으로 미국산 쇠고기 반대 촛불집회를 `생활밀착형'으로 전환키로 해 촛불 거리시위가 중단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7일 대책회의에 따르면 지도부는 향후 촛불집회를 대규모 거리시위 형태의 집회에서 더욱 다양한 형태의 집회로 전환하는 방안을 적극 논의 중이다. 특히 광복절에 열리는 `100회 촛불집회'를 기점으로 `생활밀착형'으로 본격 전환하는 방안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활밀착형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지만 불매운동과 인터넷과 언론 등을 통한 정부 정책 비판 등이 핵심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처럼 대책회의가 지난 5월2일부터 거의 매일같이 전개해온 촛불집회의 모드를 전환키로 한 데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는 분석이다.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대책회의 내부에 더 이상 대규모 집회를 이끌어갈 만한 동력이 남아있지 않다는 점이 꼽힌다. 장기화된 거리집회와 시위 과정에서 수백 명이 경찰에 연행돼 상당수가 입건된 가운데 핵심 실무자들의 구속이 잇따르면서 촛불의 동력이 급격히 소진됐고 시민 등 참가자들의 피로도 가중됐다. 경찰 수배를 받고 있는 대책회의 지도부 역시 조계사로 피신한 상태에서 한 달째 옴짝달싹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정부의 전방위적 압박에다 미국산 쇠고기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현실인 만큼 `협상 무효'나 `재협상' 촉구보다는 불매운동 같은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이 필요한 것도 방향전환의 이유로 보인다. 다만 대책회의 주최의 거리집회가 중단 내지 소강상태에 접어든다 하더라도 산발적인 소규모 집회는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참가자들의 구성이 그만큼 다양했기 때문이다. 특히 쇠고기 문제 외에 공기업 개혁 등 일련의 정부정책에 대한 반감들이 촛불집회의 이면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도 그런 가능성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 이와 관련, 대책회의 관계자는 "생활밀착형 집회로의 전환은 예전부터 이야기가 되어온 사항으로 `100회 집회'를 맞아 좀 더 본격적으로 논의해 보겠다는 취지"라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이 관계자는 "생활밀착 형태로 전환한다고 해서 거리집회를 완전히 중단하겠다는 의미는 아니다"며 확대 해석을 거듭 경계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