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연합뉴스
등록일: 2008-08-19
<태양광발전소 산림훼손.투기수단화 우려> -연합뉴스 전남 서남부에 난립.."신재생에너지 후속대책 시급" (무안=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전남 서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는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청정에너지라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지만 정부의 특혜조치를 이용한 일부 소규모 사업자들의 난개발과 투기성 투자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9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에서 전기사업법에 의해 태양광발전소로 허가된 업체는 모두 636곳으로 총 허가발전용량은 336㎿ 규모이며 대부분 2006-2008년 등록됐다. 이처럼 국내 태양광발전 사업허가용량의 절반에 달할 정도로 태양광발전소가 집중돼 있지만 이들 업체 대부분이 허가용량 1㎿이하의 소규모 사업자들로 3㎿이상 대규모 사업자는 보성 1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 같은 현상은 소규모일수록 정부에서 주는 발전차액지원금이 많아지고 환경성 검토 등 걸림돌이 적어지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허점 때문이다. 현재 전기는 전력거래시장에서 1㎾당 110원선에서 거래되지만 태양광발전의 경우 정부보조금을 받아 전력시설용량이 30㎾ 이상인 발전소는 1㎾당 677원을, 30㎾미만 소규모 발전소는 711원을 받을 수 있어 발전소 설립이 소규모에 집중되고 있다. 또 산지를 전용하려면 거쳐야 하는 환경성검토를 피하기 위해 일부러 필지를 나눠 소규모로 추진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해남에서는 1개 규모에 불과한 발전소 부지를 4개로 나눠 '꼬마발전소' 4개를 세운다며 사전환경성검토 없이 산지를 전용하는 사례도 생겨났다. 이처럼 일부 소규모 발전소들이 환경영향평가도 없이 난개발을 하다 보니 산림과 농지가 파헤쳐지고 황폐화해 이에 따른 토사 유실, 산사태 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태양광발전소 허가가 형질 변경 등 개발행위 수단으로 이용되거나 개발목적에 의한 투기성 사업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사업성 부진으로 인해 발전시설을 중도에 포기해 시설물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나 태양광 발전시설물 유지를 위한 제초제 살포 등으로 인한 민원도 일부지역에서 나오고 있다. 목포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태양광 에너지 정책이 성급하게 추진되다 보니 각종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무방비 상태였다"며 "친환경에너지를 정말로 친환경적으로 생산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정비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