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밀양주민, 한전 송전선로 백지화 촉구 -연합뉴스
등록일: 2008-08-22
밀양주민, 한전 송전선로 백지화 촉구 -연합뉴스 (밀양=연합뉴스) 황봉규 기자 = 경남 밀양지역 주민들이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765㎸ 규모의 송전선로 건설사업과 관련, 지난달에 이어 또다시 집회를 열고 이 사업의 전면 백지화를 촉구했다. 밀양시 상동면과 산외면 등지의 주민들로 구성된 '765㎸ 북경남 송전 백지화 투쟁 밀양시 대책위원회(위원장 이수암)'는 22일 오전 밀양시 삼문동 남천강변의 야외공연장에서 1천여 명(주최 측 추산)의 주민이 참가한 가운데 '청정 밀양 지키기 시민 총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이수암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765㎸ 송전문제는 밀양시의 흥망을 좌우하는 최대현안"이라며 "전체 시민이 이 문제에 공감하고 한데 뭉쳐 장기적인 투쟁에 나서고 송전탑이 지나는 양산시와 창녕군 주민과도 공조해 한전의 부당하고 일방적인 지자체 죽이기 식의 송전탑 추진을 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환경을 무시한 765㎸ 송전사업의 부당함을 전국에 알리는 한편 이미 765㎸ 송전선로로 인해 피해를 본 지자체와 공동대처해 한전의 송전선로사업이 합리적이고 투명한 전력사업이 되도록 요구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이날 송전선로 백지화를 강하게 촉구하는 의미에서 이 위원장 등 대책위 집행부 3명이 삭발식을 가졌으며 집회를 마친 뒤 밀양시 가곡동 한전 밀양지점까지 3㎞구간에서 가두행진을 벌이며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부당성을 알리고 한전 밀양지점을 항의 방문했다. 대책위는 이날 집회에는 송전선로가 관통하는 밀양지역 5개 면지역 주민들은 물론, 밀양의 다른 지역 주민과 양산시, 창녕군 주민, 표충사 신도 등도 참가해 한전의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백지화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한전은 2002년부터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발전소와 기장군 양산시 밀양시 창녕군 등 5개 시.군 70여㎞에 걸쳐 송전탑 123기를 설치하는 765㎸ 북경남송전선로 건설 사업을 추진해왔으며 지난해 11월 산업자원부로부터 사업승인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건설예정인 송전탑의 절반이 넘는 69기와 39㎞의 송전선로가 관통하는 밀양시 상동면, 단장면, 산외면 등 5개 면을 중심으로 한 밀양주민들은 자연경관 훼손과 전자파 피해 등을 우려해 한전 측에 송전선로 변경과 송전탑 이격을 요구하는 대규모 궐기대회를 지난달 25일 개최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