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당정, 상수도사업 민간 위탁 추진 -국제신문
등록일: 2008-08-25
당정, 상수도사업 민간 위탁 추진 -국제신문 소유는 민영화지적 우려 지자체 그대로 관리는 기초단체 단위서 광역화로 전환 정부와 한나라당은 상수도 사업을 민간에게 위탁하는 것을 골자로 한 수도산업 구조개편을 추진 중인 것으로 24일 알려졌다. 당정은 또 현행 기초단체 단위에서 하는 수돗물 관리를 광역화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와 한나라당은 최근 국회에서 당정회의를 열고 수도산업 선진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법률 제정안을 이번 정기국회에서 처리키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당 정책조정위 핵심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수도산업의 소유는 그대로 지방자치단체 등 정부가 하되 경영은 민간에 맡기는 쪽으로 큰 방향은 잡았다"며 "이렇게 되면 산업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각 시군구 별로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전문성도 없고, 지자체에도 부담이 된다"면서 "수돗물 관리를 광역단위에서 하면 지역별로 천차만별인 수돗물 값도 균형을 이루는 등 시스템화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당정은 우선 물 자원이 풍부한 기초단체와 그렇지 못한 이웃 기초단체를 묶는 방식으로 60개 안팎으로 합친 뒤, 추후 성과에 따라 광역화 규모를 더욱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가령 상수도 체계가 비교적 잘 갖춰진 경남 마산시의 경우 인근 함안군 등과 수돗물 공급 시설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이 경우 대규모 재원이 들어가는 상수도 시설을 별도로 건설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광역화를 한 뒤 수도산업 자체는 공공영역에 남겨두되 배관이나 정수 등상수도 사업을 아웃소싱과 같은 방식으로 민간에 위탁할 계획이다. 이러한 방식은 전국을 광역수도권으로 묶고, 수도사업의 소유는 지방정부가 하되 경영책임은 기업이 하도록 한 이탈리아의 예를 일정 부분 참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정부는 수도산업의 지분을 민간이 50% 이상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이 경우 수도를 민영화 한다는 오해를 살 수 있어 이러한 계획은 폐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앞서 지난 6월 수도사업의 민간 지분소유를 허용한 `물산업지원법'을 입법 예고하려고 했으나 수도사업을 민영화 할 경우 `하루 사용요금이 14만원에 달할 수 있다'는 등의 괴담이 떠돌아 입법예고를 연기한 바 있다. 당정은 또 수도 민영화라는 인식을 주지 않기 위해 법안 명칭에서 `산업'을 빼고 `수도 경쟁력강화에 관한 법' 등으로 바꾸는 것도 검토 중이다. 정책위 관계자는 "수도에 대해서는 산업이라는 개념보다는 효율성 확대와 수질 및 환경개선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며 "소유는 국가가 하고, 민간부분에서 잘 할 수 있는 부분은 민간에 맡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