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가구 61% "물가 올라 소비 줄였다" -경남신문
등록일: 2008-08-29
가구 61% "물가 올라 소비 줄였다" -경남신문 국내 가구의 3분의 2 정도가 물가 상승으로 소비지출을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6일 소비자태도조사 부가조사로 `유가급등에 대한 가계의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 가구의 61.1%가 유가상승으로 인해 소비.지출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소비지출을 가장 많이 줄인 항목으로는 외식비(33.7%)와 교통비(32.6%)가 꼽혔고 이어 의류비(11.6%), 내구제구입비(6.7%), 식료품비(6.4%), 교양오락비(4.7%), 통신비(4.3%) 순이었다. 교육비를 줄였다는 답변은 1.3%로 가장 낮았다.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줄일 수 있는 항목에 있어서도 가장 많은 33.2%가 외식비를 꼽았고 교통비가 22.6%로 뒤를 이었다. 교육비를 지목한 응답자는 3.2%에 불과했다. 반대로 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지출을 줄이기 어려운 항목을 묻는 질문에는 교육비(39.6%)와 식료품비(37.0%)라는 응답이 많았다. 소득 계층별로는 중.상위소득 계층에서는 교육비를, 하위소득 계층에서는 식료품비를 가장 많이 꼽았다. 자가용 운행 현황을 묻는 질문에는 66.9%가 고유가로 운행을 중지하거나 줄였다고 답했다. 자가용 운행 감축은 하위소득 계층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향후 물가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이 고물가 상황이 장기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30.3%는 내년 하반기까지 높은 물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봤고, 2010년 이후까지 고물가가 지속될 것이라는 답변도 28.0%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지역, 경제력, 인구분포 등을 감안해 무작위로 추출한 1천 가구를 대상으로 전화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