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셋째아 울음소리 도시만 '크다' -도민일보
등록일: 2008-09-01
셋째아 울음소리 도시만 '크다' -도민일보 도내 2005년 2732명서 지난해 3337명으로 늘어 도시보다 많은 지원에도 농어촌은 증가세 더뎌 출산 장려로는 한계…경제기반 갖추는 게 우선 저출산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한 가운데 도내에서 셋째 아이 이상을 갖는 가정은 미미하지만 지속적으로 느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경남도가 집계한 도내 셋째 아이 이상 출생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05년 2732명(남 1644명·여 1088명)에서 2006년 2936명(남 1693명·여 1243명), 지난해 3337명(남 1889명·여 1448명)으로 소폭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들 가운데 1개월 동안 해당지역에 거주(주민등록상)하면서 도와 일선 시·군의 출산장려·지원금을 받은 가정도 지난 2005년 2473명에서 2006년 2800명, 지난해 3208명으로 해마다 400가구가 늘었다. 이는 셋째 아이 이상부터 도 예산 20만 원을 포함해 시·군에서 적게는 30만 원, 많게는 500만 원을 지원하는 다양한 출산지원·장려금 정책도 한 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셋째 아이 이상 시·군별 지원 = 시 지역은 창원 50만 원을 비롯해 마산 200만 원, 진주 지원 없음, 진해 100만 원, 통영 300만 원, 사천 20만 원, 김해 5세까지 매월 10만 원, 밀양 100만 원, 거제 20만 원, 양산 30만 원 등을 지원하고 있다. 군 지역은 의령 300만 원, 함안 500만 원, 창녕 50만 원, 고성 300만 원, 남해 300만 원, 하동 100만 원, 산청 80만 원, 함양 100만 원, 거창 20만 원, 합천 530만 원이다. 시지역보다 인구가 줄고 있는 군지역의 지원금이 다소 많다. 도내 시·군은 또 첫째·둘째 아이에 대한 장려금과 함께 정관·난관 복원사업, 임신부 건강검진, 철분제 공급, 보육료 지급, 양육수당, 학비지원 등 각종 유인책을 통해 인구 늘이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출산장려 정책에도 농촌지역 감소 = 시·군의 각종 인구 늘리기 정책에도 경기가 다소 활성화한 도시 중심으로 증가한 반면 농촌지역은 여전히 인구감소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지난해 시·군별 셋째 아이 이상 지원금 혜택자를 보면, 김해가 480명(2006년 대비 +130명)으로 최고를 기록했으며, 창원 456명(+67명), 진주 325명(+36), 통영 150명(+33) 순이다. 반면 함양 43명(-12), 창녕 44명(-11), 사천 104명(-2), 거창 70명(+4), 남해 45명(+5) 등 대부분 농촌지역은 오히려 줄거나 증가 폭이 더디다. 이와 함께 출산아 수를 보면 김해·창원·마산·진주·거제·양산 등 산업이 발달한 시 지역은 많고, 의령·산청·남해·함양·합천 등 출상장려책을 전폭적으로 펴는 군 지역은 출산아 수가 적다. 실제로 지난 2005년과 2007년 출생아 수 상·하위 5위권 지역을 보면, 김해(5000명→5800명)와 창원(5054명→5561명), 마산(3397명→3701명), 진주(2714명→3090명), 거제(2365명→3014명) 등 도시지역으로 최고 800명이 증가했다. 반면, 의령(161명→200명), 산청(214명→253명), 남해(219명→292명), 함양(226명→312명), 합천(289명→341명)으로 출생아 수 증가가 십 수 명에 그치고 있다. 지역별 인구도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해 2002년과 대비하면 김해(증감률 20%), 거제(17%), 진해(17%), 양산(15%)이 급증했으며, 창녕(-12%), 산청(-10%), 합천(-9%), 함양(-8%) 등은 급감했다. 도 관계자는 "농촌이 출산지원책을 많이 내놓고 있지만 이 같은 정책만으로는 인구를 늘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근본적인 해결책은 경제가 살아나고 아이를 키우는데 경제적 부담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