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이준구 교수 "정부 `오락가락'으로 최대 위기" -연합뉴스
등록일: 2008-09-17
이준구 교수 "정부 `오락가락'으로 최대 위기" -연합뉴스 "정책 일관성 결여… 허황된 `747'에 발목 잡혀" "개입 일삼아 시장기능 손상…신뢰 회복이 급선무"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유명한 경제학 교과서의 저자인 서울대 경제학부 이준구 교수가 이명박 정부의 정책 일관성 결여를 강하게 비판하며 우리 경제가 위기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17일 이 교수의 홈페이지(www.jkl123.com)에 따르면 그는 최근 올린 `오락가락 정부'라는 글에서 "정부의 오락가락 정책으로 (우리 경제가) 외환위기 이후 최대의 위기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성장도 지지부진한데다 물가, 외환, 주식시장 등 불안하지 않은 것이 하나도 없다며 "근래에 우리 경제가 이토록 심각한 총체적 어려움에 빠진 것을 기억하기 힘들 정도"라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경제학원론' '미시경제학' 등 경제학 교과서 저자로 널리 알려진 그는 경제 난국의 원인과 관련, "현 정부의 가장 심각한 과오는 일관성 유지를 위한 노력을 전혀 하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현 정부가 성장과 물가 안정이라는 목표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했던 것을 대표적인 일관성 결여의 사례로 들었다. "정부가 들어선 직후는 도저히 `747 공약'을 지킬 수 없는 상황이어서 정책의 중심축을 물가 안정에 놓을 수밖에 없었는데도 `747'이라는 허황된 약속에 정부가 스스로 발목을 잡혀 물가 안정을 도외시하고 오직 성장률을 높이는 데만 혈안이 됐었다"고 비판했다. 그 결과 정부는 물가 상승 압력에 대한 초기 대응에 실패하고 도리어 고환율정책으로 물가 상승을 부채질했다는 것이 이 교수의 지적이다. 이 교수는 "(정부는) 뒤늦게 방향 전환을 시도했지만 아무 효과가 없는 정책으로 일관해 정부에 대한 신뢰가 땅에 떨어졌다"고 질타했다. 그는 정부의 `오락가락' 정책의 부작용이 가장 극적으로 표면화된 경우로 외환시장을 꼽았다. 그는 "가정이지만 정부가 개입하지 않고 외환시장의 자율에 맡겨 두었더라면 급격한 환율 변동으로 인한 부작용도 훨씬 더 줄어들었을 것이다.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어려움은 이런 정책 실패로 인한 인재(人災)"라고 말했다. 대운하 사업에 대해 이 교수는 "토목사업을 통해 경제를 살릴 수 있다는 낡은 사고방식의 소유자들에게 대운하 사업은 정말로 포기하기 힘든 호재임이 분명하다"며 "불과 두 달 정도의 짧은 기간에 `포기'에서 `재고'로 오락가락하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정부는 자신에 대한 신뢰를 스스로 깎아먹는 우를 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그토록 시장을 부르짖으며 등장한 정부가 걸핏하면 개입을 일삼아 시장의 자율조정 기능을 손상시킨 것은 매우 역설적인 일"이라며 "현 정부는 최근 우리가 본 정부 중 가장 반시장적 정부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이 교수는 이어 "`747' 공약은 현 정부가 벗어던지려야 벗어던질 수 없는 태생적 한계이며 지키려고 안간힘을 쓸수록 더 깊은 수렁으로 빠져들 수밖에 없다"며 "현 상황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정책의 일관성을 회복해 정부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