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폐도로 없애고 자연생태 복원해야" -국제신문
등록일: 2008-09-25
"폐도로 없애고 자연생태 복원해야" -국제신문 백두대간의 야생동물 서식지 보호와 생태계 연결을 위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도로를 없애고 자연상태로 복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3일 환경단체인 녹색연합에 따르면 백두대간은 포장도로 61개, 비포장도로 21개 등 82개 도로(임도 제외)로 8.3㎞마다 단절돼 동식물의 고립과 야생동물의 이동제한, 식생변화 등이 심각하다. 그런 만큼 대체도로나 터널이 개설되면서 기존 도로의 이용이 현저히 줄었거나 폐쇄해도 이용에 지장을 주지 않는 구간은 아스팔트를 걷어내고 산림을 복원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녹색연합은 생태복원이 시급한 구간으로 강원도 미시령과 조침령, 건의령, 두문동재, 경북 이화령, 경남 신풍령, 전북 사치대 등 7곳을 제시했다. 이곳은 터널이나 대체도로가 개설돼 기존 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이 하루 50대에 불과한데다 계속 방치할 경우 산사태 위험도 커진다는 것. 녹색연합은 이들 구간의 면적은 축구장 72개와 맞먹고 13만그루의 나무를 심을 수 있어 생태적으로 복원할 경우 연간 1천300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