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연합뉴스
등록일: 2008-10-23
<수돗물 그대로 마시는 국민 1.4% 불과> -연합뉴스 수돗물 가격 인상은 75.3%가 반대 (서울=연합뉴스) 정규득기자 = 우리 국민 중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는 인구는 1.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민의 60%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환경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환경부는 지난 6-7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월드리서치에 의뢰, 전국 16개 광역시.도에 거주하는 일반국민 2천명과 환경전문가 215명을 대상으로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하천 수질이 개선됐다는 대답은 69.5%로 2003년에 비해 12.4% 증가했다. 수질개선 원인으로는 지방자치단체의 노력(27.8%), 환경단체의 노력(24.5%), 성숙된 시민의식(23.4%) 등이 꼽혔다. 그럼에도 '수돗물이 적합하다'(36.5%)는 대답은 '부적합하다'(63.5%)보다 여전히 적었으며, '수돗물을 그대로 마신다'는 응답도 1.4%로 2003년(1.0%)과 거의 같은 수준이었다. 응답자의 대부분은 수돗물을 끓이거나(43.5%) 정수기로 정수해(41.9%) 마신다고 대답했다. 부적합한 이유로는 `막연히 불안해서'(40%), `냄새가 나서'(19.5%), `녹물이 나서'(11.7%), `물맛이 나빠서'(10.9%), `부적합하다는 언론보도 때문'(10%) 등이 열거됐다. 수돗물의 신뢰도 제고 방안으로는 `노후 수도관 교체'(47.2%), `검사항목 확대'(19.5%), `정수시설 개선과 고급화'(13.9%) 등의 순으로 대답했다. 수도요금 인상에 대해서는 5년 전보다 9.4% 줄어든 24.7%만 찬성했다. 우리나라의 공기상태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도 `불만'(42.8%)이 `만족'(22.6%)보다 훨씬 많았다. 자동차로 인한 공기오염 문제 해결 방안으로는 `대중교통체계 강화'(43.7%), `차량 부제 운행시행'(28.1%), 저공해 자동차 보급(26.1%)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가정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쓰레기는 `과일껍질.야채.생선'(48.9%), `남은 반찬이나 국찌꺼기(33.4%)' 등이었고 음식 쓰레기를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은 홍보강화(40.8%), 계획적인 식재료 구입(26.3%), 교육(20.2%) 등이 제안됐다. 쓰레기봉투 가격 인상에는 65.9%가 반대했다. 한편 국민들의 과반수(59.5%)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환경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인 반면 전문가들은 74.4%가 규제완화에 반대했다. 바람직한 규제완화 방식으로는 `절차만 간소화'(44.4%)가 `절차.내용 모두 간소화'(24.2%)보다 선호됐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의 79%는 환경문제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분야별 심각성에 대해서는 `지구온난화.기후변화(90.5%), 생활쓰레기(89.7%), 산업폐기물(88.7%) 등의 순으로 대답했다. 환경부는 향후 환경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 1995년부터 3-5년 주기로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을 조사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2003년에 이어 네 번째로 실시됐으며 95% 신뢰수준에 최대 허용오차는 ±2.2% 포인트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