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친환경농법, 갈 길 아직 멀다 -도민일보

등록일: 2008-10-27


친환경농법, 갈 길 아직 멀다 -도민일보 확대 보급 추세에도 농가 "번거롭다" 꺼려 오리·우렁이 생태계 교란…영농비 부담 커 경남 도내 시·군이 외국 농산물의 수입자유화에 대비, 국내산 농산물의 가격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친환경농법에 승부수를 던지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농법으로 확대 보급 추세인 우렁이, 오리 농업이 생태계 교란과 영농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어 대책마련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경남도 벼 친환경농법 재배실적 및 계획에 따르면 도내 20개 시·군 7963 농가가 5314.2㏊에서 오리·우렁이 농법, 쌀겨농법, 종이멀칭농법 등 9개 친환경농법으로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도내 지역에서 가장 많이 시행하는 농법은 우렁이 농법으로 6675 농가 4359.5㏊에서 벼를 재배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쌀겨 농법(1057 농가, 773.6㏊), 스테비아농법(67 농가, 110㏊), 오리농법(54 가구 29.5㏊) 순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종이멀칭 농법(50 농가, 16㏊), 미꾸라지 농법(23 농가, 9.4㏊), 당밀농법(15 농가, 10㏊), 유박농법(2 농가, 38.4㏊)이 사용되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거창군 등 10개 군지역에서 우렁이 농법으로 4882 농가가 3166.5㏊, 올해는 지난해보다 크게 늘어난 6346 농가 4157.8㏊에서 재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천시와 거제시, 양산시, 통영시 등 일부 지역에서 소규모로 우렁이농법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쌀겨 농법은 지난해 창녕군과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지역 806 농가에서 550.7㏊를 시행했으며 올해는 695 농가에서 525.7㏊로 농가는 줄었지만 재배면적은 조금 늘어났다. 하지만 오리농법은 지난해 창녕군과 거창군, 합천군 지역 8농가가 9.7㏊에서 재배했으나 올해는 하동군을 포함해 15 농가 7.4㏊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이처럼 우렁이·오리농법이 확대 보급추세이지만 실제 농가들은 일이 많고 번거롭다는 이유로 친환경농법을 꺼리고 있다. 오리농법의 경우 논에 벼를 심은 직후부터 곧바로 갓 태어난 어린 오리를 풀어 낮에는 논으로 몰아넣고 어두워지면 논 주변 오리막사로 다시 불러들이는 과정을 벼 이삭이 팰 때까지 2개월간 계속해야 하고 이후 벼 수확 때까지는 주인이 사료로 오리를 사육해야 하는 것도 큰 불편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다 자란 오리는 논을 마구 헤집어 매년 1년생 어린 오리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다 겨울철 등 논에 풀어서 사육하지 못하는 시기에는 관리비와 추가사료비가 소요되는 등 노동력과 농업비용이 배가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진주시는 올해 오리를 이용해 친환경 벼 재배시범사업을 시행하려고 했지만 연초부터 AI(조류인플루엔자) 사태가 터지면서 오리 농법을 포기하고 우렁이 농법으로 전환했다. 우렁이농법도 생태계 교란종 논란을 빚고 있다. 연간 최대 3000여 개의 알을 낳을 정도로 높은 번식력을 지니고 있고 잡초는 물론 어린모까지 갉아 먹어 치울 만큼 왕성한 식성 때문이다. 따라서 왕우렁이는 지난해 5월 환경부로부터 '생태계 위해성 2등급'으로 분류됐고 그 등급은 상향 조정될 전망이다. 만약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될 경우 농사에 활용하는 것은 물론 방사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