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새만금 방조제 완공 후 도요.물떼새 40% 줄어 -연합뉴스

등록일: 2008-10-28


새만금 방조제 완공 후 도요.물떼새 40% 줄어 -연합뉴스 (부산=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2006년 4월 새만금 방조제가 완공된 뒤 새만금과 곰소만, 금강하구 지역을 찾은 도요.물떼새 24종의 개체수가 40%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단체인 `새와 생명의 터'는 27일 발표한 `2006~2008년 새만금 도요.물떼새 모니터링 프로그램 보고서'에서 2006년 4~5월 새만금과 곰소만, 금강하구에서 관측된 도요.물떼새의 개체 수는 24만4천349마리였으나 2008년 같은 기간에는 14만4천950마리만 관측됐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새만금 지역에서는 도요.물떼새의 개체 수가 2006년 17만6천955마리에서 2008년 4만6천18마리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금강하구 지역의 도요.물떼새 개체 수는 2006년 6만6천627마리에서 2008년 9만8천402마리로 늘었으며 곰소만 역시 901마리에서 9천861마리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와 생명의 터'는 보고서에서 "새만금 지역의 도요.물떼새 개체 수 감소와 금강하구, 곰소만 지역의 개체 수 증가는 새만금의 서식지를 잃어버린 철새들이 인접 지역으로 옮겨간 증거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새와 생명의 터' 관계자는 그러나 "과거 농림부는 `새만금의 철새가 곰소만이나 금강하구 등으로 서식지를 옮길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새만금에서 사라진 13만 마리에 비하면 인접지역으로 옮긴 4만여 마리는 터무니없이 적은 숫자"라고 비판했다. 보고서는 또 새만금 서식지의 파괴가 전 세계 도요.물떼새 개체 수 감소에도 영향을 끼쳤다고 지적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정부의 후원으로 운영되는 `황해이동철새 호주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호주 서북부 지역의 붉은어깨도요의 총 개체 수는 2005년 9만6천여 마리에 달했으나 2007년 12월 이 지역의 붉은어깨도요의 개체 수는 1만7천803마리에 불과했다. 호주 서북부는 새만금 일대의 도요.물떼새들의 경유지로 새만금 방조제 완공 이후 새만금을 거쳐 호주 서북부로 돌아오는 붉은어깨도요의 수가 약 17%로 줄었다는 것. 보고서는 "만약 새만금에서 실종된 붉은어깨도요의 83%가 정말 죽은 것이라면 새만금 방조제 완공 이후 전 세계 붉은어깨도요의 총 개체 수는 20% 가량 줄어든 셈"이라고 지적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