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교원평가제 교육효과 높인다" -연합뉴스
등록일: 2008-10-29
"교원평가제 교육효과 높인다"<울산 시범학교> -연합뉴스 "학생.학부모 평가는 객관적 방법.기준 필요" (울산=연합뉴스) 이상현 기자 = 교원의 능력을 동료교사 등이 평가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교육 효과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같은 결과는 28일 오후 울산시 남구 삼산초등학교에서 열린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시범학교 운영 결과 합동보고회에서 발표됐다. 이날 발표회를 가진 학교는 삼산, 삼정, 울산중앙, 월봉초등학교 등 4개 초등학교다. 이들 학교는 이날 보고회에서 이 평가제에 참여한 교사들이 학생 수업과 업무 수행 능력 등 전문성 제고를 위해 매우 노력했다고 밝혔다. 또 담임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결과 수업 만족도가 '우수'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이 제도가 수업의 질 향상은 물론 담임과 학생간의 긴밀한 인간관계를 구축하는데도 도움을 줬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 제도는 교사 개인의 능력 제고는 물론 동료 교사와의 원만한 관계 형성, 긍정적인 학교 분위기 형성에도 큰 기여를 했다고 이들 학교는 설명했다. 이들 학교는 그러나 학생에 의한 수업 만족도 조사나 학부모에 의한 담임 만족도 조사는 보다 객관적인 평가 방법과 기준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들 학교는 이어 이 제도의 확대 시행에 앞서 교사와 학부모들의 전문연수 확대, 교사들의 업무 경감을 통한 수업 연구시간 확보, 교사들의 자기 계발을 위한 행정 및 제정적 지원 확대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2005년 11월 교원평가제를 처음 도입했으며 지난 2006년 전국 67개교에 이어 지난해 명칭을 교원능력개발평가제로 바꾼 뒤 506개교, 올해 669개교에서 이 제도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 교과부는 이 제도를 오는 2010년 3월부터 전국으로 확대 실시할 예정이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