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수돗물 불소화사업 타당성 검토해야" -도민일보

등록일: 2008-12-04


"수돗물 불소화사업 타당성 검토해야" -도민일보 도의회 신용옥 의원, 보건복지국 예산심사서 지적 안전성 논란 중단 늘어…전국 26곳 중 경남만 10곳 경남도 예산심사 과정에서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 수돗물 불소화 사업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도는 내년 예산안에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에 1억 9075만 원을 편성했다. 이 예산은 전액 국민건강증진기금에서 나온 것으로, 도내 정수장 10곳(거제, 김해2, 남해, 진주2, 진해, 창녕, 창원, 합천)에 불소화 약품비로 쓰인다. 경남도의회 교육사회위원회 신용옥(김해3) 의원은 3일 보건복지여성국 예산안 심사에서 "시범사업으로 시작했던 청주시는 20여 년 만에 수돗물 불소화 사업을 중단했고, 많은 곳이 중단하고 있다"며 "계속 예산을 투입할 게 아니라 충치발생률을 분석해봐야 한다. 다른 곳은 중지하는데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구강보건사업단이 지난 2006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전국 평균 충치 수는 1인당 2.2개인데 불소화 수돗물을 먹는 합천은 1.31개로 나타났다. 또 2007년 불소화 수돗물을 먹는 경기도 안산의 충치발생률(5세 기준)은 57.8%, 당시 불소화 수돗물이 아니었던 거제는 69.8%로 조사됐다. 수돗물 불소화사업은 충치예방을 위해 지난 1981년 시작됐으며, 도내에서는 진해시 정수장에 처음 도입됐다. 전국 정수장 519곳 중 최근에 청주, 과천, 경주, 포항이 사업을 중단했으며, 현재 경남 10곳을 비롯해 26곳에서만 시행되고 있다. 특히 시민단체가 불소가 들어간 수돗물의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면서 사업 중단한 곳이 많아 전국적으로 불소화 사업을 하는 곳이 줄었으나 경남은 지난해 창원시와 거제시가 시작해 더 늘었다. 도 윤연혁 건강증진담당은 "반발이 거센 곳은 중단했지만 경남은 새로 2곳이 신청한 것으로 보아 반응이 좋다고 본다. 거제시는 공청회를 거쳤다"며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한 사업이고 가장 적은 비용으로 충치예방 효과를 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심사에서는 내년 5월에 계획된 건강의료엑스포사업비(1억 원)가 애초 예산에 없다 수정예산에 들어간 점과 사업효과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도 나왔다. 신 의원은 "상품 선전이나 기관 홍보만 할 것 같으면 도민 건강과 무엇이 직결되느냐. 전시행정 아니냐"고 물었다. 이와 함께 박동식(사천2)·임경숙(비례)·신 의원은 다문화가족 어울림 한마당 축제 사업비를 내년에 2억 원으로 두 배 늘린 점을 지적하며, "일회성 행사가 아니라 다문화 관련 사업이 많은데 이주여성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게 통합하고 도민으로서 긍지를 불어넣을 수 있는 사업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