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경남도 "연안매립 최소화 하겠다" -연합뉴스

등록일: 2008-12-12


경남도 "연안매립 최소화 하겠다" -연합뉴스 환경단체 포함된 '연안관리 자문단' 운영..로드맵 수립도 (창원=연합뉴스) 정학구 기자 = 국제환경회의인 람사르총회를 개최한 경남도가 환경단체 간부 등이 대거 포함된 연안관리 자문단을 구성하고 연안매립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필요할 경우 매립이 이뤄진 곳을 복원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선언했다. 서춘수 도 농수산국장은 11일 도청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연안의 과도한 매립으로 인한 훼손을 막고 연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연안관리 자문단을 운영하겠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연안지역 이용관리 실태에 대한 전면조사도 실시, 연안이용.보전 로드맵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연안지역 가운데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은 대체 습지와 간석지 조성 등을 조건으로 친환경적이고 최소 범위 내 매립을 허용하되 나머지 지역의 매립은 엄격히 제한한다는 것이다. 자문단에는 도의 대규모 매립정책을 강하게 비판해 온 마창진환경운동연합의 임희자 사무국장과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김일환 사무국장을 비롯해 사천환경운동연합 김남훈 의장, 녹색경남21추진위 이인식 상임의장 등이 포함됐다. 여기다 도는 해양생태계 보전 등을 위해 복원이 필요한 경우 연안해역을 복원하는 방안도 장기적으로 검토해 나간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조선소 건설 등을 위해 도내 연안에는 이미 대규모 매립이 끝난 상황이어서 '뒷북행정'이란 지적이 나올 법도 하지만 최근에도 신규 연안매립 신청이 이어지고 있어 이번 자문단 구성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주목된다. 현재 마산만 방재언덕 조성을 위해 8만200㎡, 거제시 사등면 조선시설용지 조성을 위해 8만6천여㎡, 진해시 웅천동 일원 경제자유구역 개발 차원에서 99만7천㎡, 마산시 양덕.봉암동 일원 조선블록제작장용 5만3천여㎡, 진해시 제덕동 조선기자재생산 공장용 8만7천여㎡ 등 5건 130만㎡에 대해 국가연안매립 기본계획에 반영해달라는 신청서가 접수된 상태다. 신청을 받은 국토해양부가 도와 협의를 거치는 과정에서 자문단이 의견을 제시하게 된다. 도는 2000년 이후 최근까지 도내 27개 지구에 걸쳐 3.48㎢의 공유수면 매립이 진행 중이거나 기본계획에 반영돼 있다고 밝히고 있다. 한편 연안관리법상 해안선에서 12해리(약 21.6㎞)까지를 연안으로 보고 있으나 도내 9개 시.군이 관리하고 있는 연안지역은 해안선에서 500m 이내의 육지부를 포함해 모두 2천827㎢며 이 가운데 보전연안이 1천964㎢, 최소한의 이용이 허용되는 이용연안 424㎢, 개발연안 438㎢ 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번에 자문단에 위촉된 김일환 사무국장은 "지금까지는 연안매립 계획 자체를 잘 몰라 제 때 대응을 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었는데 초기부터 의견을 제시할 수 있게 돼 의미는 있다"며 "실제로 어떻게 운영되고 의견이 얼마나 반영될 지는 지켜봐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