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국민 45% "비정규직 사용기간 2년 유지해야" -연합뉴스
등록일: 2008-12-16
국민 45% "비정규직 사용기간 2년 유지해야" -연합뉴스 민주노총, 여론조사기관 의뢰 설문조사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 노동부가 추진하는 비정규직 사용기간 연장 계획에 대해 성인 남녀 45%가 현행법을 유지해야 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노총은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 연구소에 의뢰해 지난 7∼9일 전국의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비정규직에 대한 전화 설문(신뢰수준 95%, 표본오차±3.1%포인트)을 실시한 결과 45.8%가 "현행법대로 2년 고용 후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응답했다고 15일 밝혔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법률(기간제법)에서는 기간제 근로자의 사용기간을 2년으로 규정해 놓았으나 비정규직 고용 안정을 위해 이 기간을 3년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는 것이 최근 정부 입장이다. 그러나 이번 민주노총 설문조사에서는 현행 사용기간의 유지를 지지한다고 한 응답자가 절반에 가까웠을 뿐 아니라, `1년 고용 후 정규직 전환'이 필요하다는 응답자도 33.4%나 됐다. 반면 `정부 방침대로 4년 고용 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14.7%에 머물렀다. 만약 비정규직 사용기간을 연장할 경우에는 `비정규직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자(55.0%)가 `비정규직이라도 일자리 안정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본 응답자(34.1%)보다 많았다. 비정규직과 관련해 가장 심각한 문제로는 `정규직에 비해 심한 차별'(46.8%)과 `고용 불안'(41.8%)이 1,2위에 올랐고 이와 같은 비정규직 문제의 책임은 정부(43.9%)와 기업(33.6%)에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또 최저임금 액수에 관해서는 `너무 적다'는 의견이 72.4%였고, 고령 노동자 차등적용 가능성을 열어둔 최저임금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반대한다'는 답변이 65.9%였다.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 홍희덕 의원은 이날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현 경제위기에서 정부가 할 일은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실업자 생계보장이지 비정규직법 개정이 아니다. 비정규직법 개악시도를 중단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