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4대 강 홍수 본류 무관 지방 소하천·강원 집중" -도민일보
등록일: 2008-12-22
"4대 강 홍수 본류 무관 지방 소하천·강원 집중" -도민일보 운하백지화 낙동강본부, 정부 4대강 정비사업 전문가 자문 "4대 강 범람 홍수 발생 거의 없어 예방 목적과 모순" 정부는 4대 강 정비사업의 추진 이유로 '홍수 예방'을 으뜸으로 꼽고 있지만, 홍수 피해 지역은 대부분 지방군소하천이며 4대 강 본류와는 상관없는 강원도에 집중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지역의 경기 부양 효과에 대해서도 4대 강 정비가 전 산업에 미치는 파급력이 다른 부문에 비해 낮다는 주장이다. 운하백지화국민행동 낙동강본부(경남·부산·대구경북본부)는 19일 오후 1시 30분 창원 YMCA에서 지난 15일 정부가 발표한 4대 강 정비사업이 무엇이며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금융 위기 타개책이 될 수 있는지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었다. 홍헌호 연구위원(시민경제사회연구소)은 "치수정책에 관해 연구하는 전문가는 대부분 다 아는 상식에 속하는 것이지만 4대 강의 범람으로 홍수가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며 "최근 몇 년간 치수사업비 예산 편성 내용이 대부분 지방하천 정비에 관한 것이라는 게 이를 방증한다"고 말했다. 홍수를 예방한다는 목적과 맞지 않다는 것이다. 수질 오염을 개선한다는 목적 또한 이전 사업과 중복된다는 지적이다. 박창근 관동대 교수는 "낙동강변 도시들의 하수처리율은 65% 수준으로 하천 오염의 원인"이라며 "4대 강 정비 사업을 하면 33조 하수관거 BTL 국책사업이나 광역상수도 사업은 방향을 잃게 되는 꼴"이라고 말했다. 특히 경기 부양 효과에 대해 노상환 경남대 교수는 "4대 강 정비사업으로 SOC 사업처럼 지방 경제 활성화에 역할을 한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으나 주어진 예산으로 더 효율적인 방안이 없는지 △생산 유발 효과 △취업 유발계수 △부가가치 유발 효과 △전후방연쇄 효과 등을 고찰해야 한다"면서 "4대 강 정비사업이 속해 있는 건설의 경우 이 모든 계수가 다른 부문에 비해 매우 높다고 할 수 없으므로 여기에 쏟아 붓기보다 대체에너지 개발·복지 서비스·중소기업 지원 등 균등하게 예산을 편성해야 효과가 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