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도민 의식조사- 경제 살리기 대책 “물가안정” 32%, “일자리 창출” 27% -경남신문
등록일: 2009-01-02
도민 의식조사- 경제 살리기 대책 “물가안정” 32%, “일자리 창출” 27% -경남신문 <낙동강 물길 살리기> 하동·창녕 등 절반 반대 정치권 논란에도 불구, 낙동강 물길 살리기 사업에 대해서는 찬성(68.0%)이 반대(32.0%)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 도내 20개 시·군 중 17개 시·군에서 찬성이 반대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눈길을 끄는 지역은 밀양-창녕으로, 밀양이 82.3%가 찬성하는데 반해 같은 낙동강 인근 지역인 창녕은 반대 26.3%, 적극 반대 26.3%로 부정적인 기류가 52.6%를 차지했다. 시·군별로 찬-반을 보면 산청군이 응답자 11명중 6명이 적극 찬성, 5명이 찬성으로 각각 응답해 100.0%가 찬성했다. 산청에 이어 함양군이 91.5%, 의령군 88.9%, 통영시 83.4%, 밀양시 82.3%, 남해군 81.3%, 거창군 80.0%, 고성군 76.5%, 김해시 75.0%, 진주시 70.9% 등으로 10개 시·군이 전체 평균인 68.0%를 웃돌았다. 특히 낙동강 유역이 아닌 산청·함양군에서 100.0%와 91.5%가 찬성했다는 점은 특이하다. 이에 반해 반대가 경남 평균인 32.0%를 넘는 지자체로는 하동군이 53.0%로 가장 높고 합천군 52.9%, 창녕군 52.6%, 거제 46.3%, 사천시 42.9%로 각각 나타났다. 또 창원시(38.4%), 함안군(38.1%), 양산시(34.7%), 마산시(32.8%), 진해시(32.7%)도 비율에서는 경남 평균(32.0%)을 웃도는 반대를 보였다. <남해안 프로젝트> “잘 될 것” 19% - “그저 그럴 것” 31% 경남도민 절반은 경남도가 역점사업으로 추진 중인 남해안 프로젝트에 대해 ‘잘 모르겠다’ 33.9%, ‘잘 안될 것이다’ 15.6%로 49.5%가 부정적으로 응답해 도와 도민 간 괴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김태호 도지사가 남해안 프로젝트를 자신의 임기 내 추진하고 있는 경남의 대표 브랜드 사업이라고 내세우고 있는 것에 비해 인식이 부족하거나 부정적이어서 남해안 프로젝트에 대한 도의 재검토와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긍정적인 대답을 한 응답자 가운데 ‘잘 될 것이다’가 19.3%에 불과했고, ‘그저 그럴 것이다’는 소극적인 응답도 31.2%에 달해 남해안 프로젝트에 대해 확신을 가지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해안을 끼고 있어 직접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지역 가운데 통영시는 40.5%가 ‘잘 될 것이다’고 말해 남해안 프로젝트에 대해 기대감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남해군 25%, 고성군 23.5%도 ‘잘 될 것이다’라고 남해안 프로젝트 추진으로 지역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보였다. 반면 인근에 위치한 거제시는 불과 5.7%만이 ‘잘 될 것이다’고 응답했고, ‘잘 안될 것이다’ 31.3%, ‘모르겠다’가 43.3%로 조사돼 상반된 모습을 보여줬다. 내륙지역인 함양군 7.7%, 산청군 9.1%, 의령군 11.1%만 ‘잘 될 것’으로 응답해 자신이 속한 지역이 남해안 프로젝트 추진으로 인해 직접적인 지역발전에 영향을 받느냐, 아니냐에 따라 기대감이 달라져 편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지사 도정 수행> "잘한다" 24% - "못한다" 16% 도민들은 김태호 도지사가 취임한 지 4년 동안 도정수행 능력을 보통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24.7%,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16.4%로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고, ‘보통이다’는 응답이 58.9%로 다수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고성군이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52.9%로 가장 높았고, 사천시가 51.4%, 산청군 45.5%순이었다. 김 지사의 도정수행 능력이 ‘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창원시가 23.7%로 가장 높았고, 하동군 23,5%, 진해시 23.1%, 마산시 22.7% 순으로 부정적이었다. 김 지사의 고향인 거창군은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35%,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10%, ‘보통이다’가 55.0%로 타 지역에 비해 다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20개 시·군 도민 대부분은 ‘보통이다’고 말해 김 지사의 도정수행 능력이 안정적이기는 하지만 확실한 지도자적 이미지 구축에는 미흡하다는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보인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