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낙동강환경청 "오염관리 6개 유역 수질↓" -연합뉴스
등록일: 2009-01-12
낙동강환경청 "오염관리 6개 유역 수질↓" -연합뉴스 (창원=연합뉴스) 낙동강수계 내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도. 2009.1.8. <<지방기사 참조ㆍ낙동강유역환경청>> (창원=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낙동강 수계의 41개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중 6개 유역의 수질이 목표수질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8일 낙동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2006∼2008년 낙동강 수계 중 41개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의 수질을 평가한 결과, 밀양B 등 6개 단위유역의 수질이 목표수질에 미치지 못했다. 6개 단위유역은 밀양B(밀양.양산.울주), 영강A(문경,상주), 낙본F(김천.성주.칠곡), 남강D(고성.진주), 남강E(의령.진주.함안), 낙본I(마산,창녕,창원,함안) 등이다. 특히 밀양B의 경우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5)이 2005∼2007년 2.2㎎/ℓ, 2006∼2008년 2.8㎎/ℓ 등 2차례 연속으로 목표수질인 2.0㎎/ℓ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유역의 지자체는 올해 말까지 연차별 오염부하량 삭감계획이 포함된 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게 됐다. 만일 지자체의 노력이 미흡할 경우 낙동강환경청은 '낙동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18조에 따라 해당 지자체에 대한 재정지원을 중단하거나 폐수 배출시설의 설치 등을 제한할 수 있다.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이란 낙동강 수계의 이용 상황과 수질상태 등을 고려해 수계 구간별로 목표수질을 설정한 구역을 말하며 낙동강환경청은 41개 단위유역에 대해 매년 8일 간격으로 30차례 이상 수질을 측정한 뒤 3년 단위로 평가해오고 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