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 055-942-1117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
2025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4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3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2년 상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보기(인공지능)
2021년 하반기 군의원 의정활동 평가결과
함거활동
함거자료실
커뮤니티
검색
산림청 "숲길 따라 전국 구석구석 누비세요" -연합뉴스
등록일: 2009-01-19
산림청 "숲길 따라 전국 구석구석 누비세요" -연합뉴스 (대전=연합뉴스) 정윤덕 기자 = 산림청은 국민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국토 구석구석을 걸으며 각 지역 고유의 산림생태와 문화, 역사를 체험할 수 있도록 오는 2016년까지 전국 7개 권역 12곳에 '산림문화체험 숲길' 1천500㎞를 조성할 계획이다. 사진은 산림문화체험 숲길 노선(안). 2009.1.19 cobra@yna.co.kr 2016년까지 산림문화체험 숲길 1천500㎞ 조성 (대전=연합뉴스) 정윤덕 기자 = 편리하고 안전하게 국토 구석구석을 걸으며 각 지역 고유의 산림생태와 문화,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산림문화체험 숲길'이 전국적으로 조성된다. 산림청은 오는 2016년까지 전국 7개 권역 12곳에 산림문화체험 숲길 1천500㎞를 조성한다고 19일 밝혔다. 숲길 조성 대상지역은 ▲수도권 = 수도권(포천.가평.양평 150㎞) ▲강원권 = 약수(홍천.인제.양양 100㎞), 야생화(강릉.평창.정선 100㎞) ▲충청권 = 호반(대전.청원.보은 100㎞), 내포문화(서산.홍성.예산 100㎞) ▲호남권 = 동학(정읍.고창.완주 100㎞), 땅끝(해남.강진.영암 100㎞) ▲영남권 = 금강소나무(울진 70㎞), 낙동정맥(봉화.영양.영덕 200㎞), 영남알프스(울주.청도.밀양 100㎞) ▲지리산권 = 지리산(남원.구례.하동.산청.함양 300㎞) ▲제주권 = 한라산(제주.서귀포 80㎞) 등이다. 산림청은 올해 국유림 지역에 산림문화체험 숲길의 표준모델을 만들고자 우리나라 최대 금강소나무 군락지인 경북 울진 소광리 지역에 금강소나무 숲길 20㎞를 시범 조성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리산 숲길 70㎞도 추가 조성되는데 지리산 숲길의 경우 지난해 전체 예정거리 300㎞ 가운데 전북 남원과 경남 함양을 잇는 30㎞ 구간이 개통된 이후 3만 명 이상이 다녀갈 정도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산림청은 기존 등산로와 옛길 등을 찾아내 전국에 산재한 자연휴양림과 산촌생태마을 등과 수평적으로 연결하고 백두대간 등 주요 보호지역은 가급적 노선에 포함시키지 않을 방침이다. 산림청은 또 각 지역의 가치 있는 자연자원(식물상 및 동물상), 문화자원(지역의 설화 및 생활상), 연결자원(등산로 및 옛길), 기반자원(자연휴양림 및 산촌생태마을) 등을 조사해 데이터베이스화할 계획이다. 이밖에 주요 노선에는 등산안내인과 숲해설가 등을 배치해 다양한 안내 및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마을 고유의 역사, 풍습, 지역 축제 등을 활용한 프로그램도 개발키로 했다. 남성현 산림청 산림이용국장은 "지금까지의 등산로가 등정(登頂)을 목적으로 산을 오르는 행위에 비중을 둔 수직적인 개념인 데 비해 산림문화체험 숲길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하면서 지역 고유의 산림생태, 문화, 역사 자원을 감상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수평적으로 조성하는 장거리 걷는 길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남 국장은 이어 "숲길이 조성되면 다양한 계층과 여러 유형의 등산수요에 부응하고 국립공원 등 유명산에 집중되는 이용압력을 분산시켜 산림생태계 훼손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동시에 농산촌 지역의 농산물 판매 등으로 이어져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