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13일, 경상남도와 창원대학교는 거창·남해·창원 3개 도립대학 통합과 관련한 공식 설명회를 개최하고, 향후 학사 구조와 캠퍼스 특성화 방안, 재정 계획 등을 담은 통합대학 운영 구상을 공개했다.
거창캠퍼스는 ‘Green Convergence Campus’로 특성화되며, ‘K방산융합학과’ 신설, 학사전환제도(2년제에서 4년제 편입 유사 제도) 도입, 캠퍼스별 부총장제 운영 등이 포함된 것으로 발표되었다. 또한 향후 10년간의 재정 계획도 함께 제시되었다.
시민단체 ‘함께하는 거창’은 이와 관련해 지난 6월 2일 논평을 통해, 방산학과 신설이 거창의 지역 정체성과 조화를 이루는 방향인지에 대해 질문한 바 있다. 그 입장은 지금도 유효하다.
그러나 최근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폴란드를 방문해 K-방산 협력을 강화하고, 경남이 방산 수출의 국제 거점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정책 방향을 재확인한 사실은, 지역 시민사회도 이 흐름을 단지 비판적으로만 바라볼 수 없게 만들고 있다.
이제 우리는 변화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그 변화가 지역성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지를 함께 고민하고자 한다.
1. 지역 맥락과 기술 변화가 만나는 새로운 설계가 필요하다
오늘날 방산은 무기나 군사에 국한되지 않고, 정밀기계, 드론, 인공지능, 자동화 등 다양한 첨단기술과 융합되고 있다. 특히 ‘K방산융합학과’라는 명칭이 말하듯, 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 학과가 거창의 생명·복지 중심 정체성과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여전히 부족하다.
거창의 지역성에 맞는 학과 구성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드론 기반 재난 대응, 국방의료기기, 스마트 안전 시스템, 국방 소방기술 분야 등은 지역이 가진 자원과 가치와의 연결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Green Convergence Campus’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사회안전·공공기술로서의 방산 분야 접근이 필요하다.
2. 지역이 설계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통합 추진 과정에서 몇 차례 설명회와 간담회가 있었지만, 지역사회의 의견이 실질적으로 반영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제기된다.
특히 6월 13일 공식 설명회는 통합 이후의 구체적인 운영 방향을 공개한 자리였던 만큼, ‘설명’에 그치지 않고 ‘참여’로 이어지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
거창캠퍼스의 진정한 성공은 지역 구성원들이 통합대학의 방향에 ‘동의’했느냐에 달려 있다.
이것이야말로 통합의 지속 가능성과 신뢰의 첫걸음이다.
3. 재정 계획의 지속 가능성, 지금 설명되어야 한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향후 10년간의 재정 계획이 함께 제시되었으나, 거창캠퍼스에 대한 도비 지원은 통합 후 5년까지만 제공되고 이후에는 전면 중단된다는 점이 명확히 드러났다.
국비 및 자체 수입으로 재정을 꾸려가겠다는 계획이 제시되었지만, 실질적인 확보 방안은 확인하기 어려웠다.
* 도비 중단 이후의 재정 공백을 어떻게 메울 것인지
* 자체 수입의 기반은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 세 캠퍼스 간 예산 배분의 형평성은 어떻게 확보될 것인지
이러한 물음에 대한 설득력 있는 답변 없이 통합대학 운영이 이어진다면, 지역사회는 지속적인 불안과 불신을 가질 수밖에 없다.
■ 우리는 다음을 제안한다
1. ‘K방산융합학과’는 지역 정체성과 기술 산업을 연결하는 융합형 공공기술 기반 학과로 설계되어야 한다.
2. 도와 대학은 도비 중단 이후의 재정 지속성, 자체 수입 기반, 예산 배분 문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3. 이행계획 수립 과정에 지역 주민, 학생, 교직원이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 우리는 다시 묻고, 함께 길을 찾고자 한다
이 통합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이 학과는 누구에게 힘이 되는가?
우리는 여전히 이 질문들을 품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질문에만 머무르지 않으려 한다.
지역의 정체성과 미래의 변화가 만나는 지점을 고민하며,
지역과 함께, 미래를 함께 설계할 수 있는 길을 찾아가고자 한다.
2025년 6월 18일
함께하는 거창
코멘트(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