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군수 이름만 가득한 거창군 보도자료, 본래 취지 잊었나
보도자료는 원래 주민에게 정확한 정책 정보를 알리고, 사업의 실질적 내용과 효과를 전달하며, 군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공식 수단이다. 행정안전부 지침과 언론학 원칙에서도 보도자료는 주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정책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한 것이지, 특정 개인을 홍보하는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 거창군의 보도자료를 보면, 본래 목적이 흐려지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
함께하는 거창은 2025년 6월 한 달 동안 거창군청이 발표한 보도자료 83건을 모두 살펴봤다. 그중 군수 이름이 등장하는 기사가 26건, 본문 기준으로는 33번이나 반복됐다. 사업의 주인공은 군민과 각 부서인데, 결국 군수 이름으로 마무리되는 홍보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또 행사나 체험 위주의 보여주기식 행정이 절반을 넘는다. 한 달 동안 발표된 각종 체육대회, 캠페인, 체험 행사, 공모전 등 행사 관련 보도자료가 46건이다. 행사가 많아 보이지만, 이런 단발성 이벤트가 실제로 군민 삶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는 따져봐야 한다.
반면 정책성과 중심의 보도자료는 42건이다. 숫자만 보면 행사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내용을 뜯어보면 일부는 행사·체험과 함께 소개되거나 홍보 목적이 섞여 있어, 순수한 정책성과로 보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정책이 얼마나 되는지, 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인지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청년 정책은 5건, 노인 정책은 3건, 소외계층을 위한 정책은 7건 발표됐다. '청년 귀농 정착 지원'이나 '폭염 취약계층 물품 전달'처럼 꼭 필요한 사업도 있었지만, 상당수는 일회성 홍보에 그쳤다.
무엇보다 군민이 실질적으로 참여할 기회가 거의 없다는 점이 가장 심각하다. 청년임대주택 명칭 공모, 농촌체험휴양마을 간담회 등 제한적인 사례를 빼면, 군민 의견을 듣고 정책에 반영하는 구조는 사실상 없다.
거창군은 보도자료를 본래 목적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 정책을 알리고 군민이 정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 우선이다. 군수 개인 홍보에 치중하는 방식은 결국 행정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고, 군민을 소외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뿐이다.
우리는 분명히 요구한다.
● 군수 개인 홍보가 아닌, 실무부서와 군민을 주인공으로 세우는 홍보를 해야 한다.
● 단기 행사에 그치지 말고, 실질적인 정책을 개발해 군민이 결과를 체감할 수 있어야 한다.
● 가장 중요한 건, 주요 사업에 군민이 참여하고 의견을 내는 구조를 만드는 일이다.
군민 없는 행정, 주민을 배제한 정책은 결국 공허한 결과만 남는다. 거창군은 보여주기보다 군민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함께하는 거창은 앞으로도 군민의 입장에서 거창군 행정을 꼼꼼히 살펴보고, 문제는 분명히 지적할 것이다.
2025년 7월 7일
함께하는 거창
코멘트(Comments)